2010's |
- 2019.02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신설
- 2015.04
- 국립식량과학원·국립원예특작과학원·국립축산과학원 전북혁신도시로 이전
- 2014.07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전북혁신도시로 이전
|
2000's |
- 2009.10
- 한국농업대학을 농식품부로 이관(1관 3국 4 소속기관)
- 2009.09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설립(1관 3국 5소속기관)
- 2008.10
- 대국대과제 체계로 전면 개편(1관 3국 5소속기관)
- - (본청) 기획조정관, 연구정책국, 농촌지원국, 기술협력국
- - (소속)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업대학
- 2007.06
- 작물과학원에 인삼약초연구소 신설
- 2004.01
- 작물시험장, 호남․영남농업시험장를 통합하여 작물과학원으로 개편(2관 2국 9소속기관)
- 2002.03
-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신설(농촌생활연구소를 폐지하여 농업과학기술원으로 이관)
- 2000.08
- 종자관리소를 농림부로 이관(2관 2국 11소속기관)
|
1990's |
- 1998.08
- 잠사곤충연구소와 잠종관리소를 폐지하여 농업과학기술원으로 이관(2국 4관 12소속기관)
- 1998.02
- 수의과학연구소를 농림부로 이관(2국 4관 13소속기관)
- 1997.01
- 지방농촌진흥기관 소속공무원(연구·지도직공무원) 지방직 전환(7,324명)
- 1996.02
- 전문농업인력 육성관리를 위한 한국농업전문학교 신설
- 1994.12
-
- 농업기술연구소, 농업유전자원공학연구소, 농약연구소 및 국립농업자재검사소(농림수산부 소속)의 농자재 품질관리 기능 통합하여 농업과학기술원으로 개편
- 원예시험장와 과수연구소를 통합하여 원예연구소로 개편
- 잠업시험장과 국립잠사소(농림부 소속)을 통합하여 잠사곤충연구소로 개편
- 축산시험장과 국립종축원(농림부 소속)을 통합하여 축산기술연구소로 개편
- 국립종자공급소(농림부 소속) 이관 받아 종자공급소로 개칭
- 1991.11
- 농업유전공학연구소 신설(3국 3관 15소속기관), 맥류연구소를 폐지하고 과수연구소를 신설
|
1980's |
- 1986.06
- 농업기술연구소 설치(3국 14소속기관)
- 1981.11
- 농약연구소 신설(3국 11소속기관)
|
1970's |
- 1978.12
- 농촌영양개선연수원 신설(3국 13소속기관)
- 1977.05
- 맥류연구소 신설(3국 12소속기관)
- 1970.04
- 농공이용연구소와 농업경영연구소를 농림부로 이관
|
1960's |
- 1969.04
- 농림공무원교육원을 농림부장관 소속으로 변경(2국 11소속기관)
- 1967.09
- 농업경영연구소를 신설
- 1966.12
- 임업시험장과 임목육종연구소를 산림청으로 이관(2국 11소속기관)
- 1962.12
- 기획관리관 신설
- 1962.04
- 농촌진흥청 발족(2국, 11연구소 ·시험장)
- 농사원, 농림부 지역사회국, 농림부 훈련원, 농림부 제주목장, 중앙전매연구소의 연초시험장을 통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