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것이 힘이다! 이달의 농업기술을 활용해보세요!

이달의 농업기술을 통해 최신 정보 습득에 따른 이슈 대응과 농업기술 향상이 가능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구글플러스

서리피해 발생조건, 피해, 대책

전체목록

선택

과수 개화기 서리피해 방지대책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강성산 063-238-6432

서리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기상 조건

  • 저온 건조한 이동성 고기압이 통과할 때, 바람이 없고 맑으면서 야간에 기온이 어는점 이하로 떨어지는 날에 발생하기 쉬움
  • 개화기에 낮 기온이 높아도 공기의 냉각이 급속히 일어나고 자정 온도가 3∼4℃가 된다면 서리가 내릴 확률이 높음

저온·서리피해 양상

  • 개화 직전 또는 개화기 저온피해 온도
    • 사과 : -2.2℃ / 배: –1.9℃ / 포도: -0.6℃ / 복숭아: –1.1℃
  • 꽃봉오리 중 저온에 약한 순서 : 암술 > 수술 > 꽃잎
  • 꽃이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에서 저온피해를 받으면
    • 꽃잎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암·수술이 정상적으로 발육하지 못하고 갈변하며 꽃자루가 짧아짐
  • 개화기 전후로 저온피해를 받으면
    • 암술머리와 밑씨(배주)가 검은색으로 변하며, 심한 경우에는 개화하지 못하고 말라 죽거나 개화하더라도 결실을 맺지 못함
    • 수정이 되더라도 열매모양이 굴곡지게 되고 기형과가 되어 조기낙과 됨
    • 어린 잎은 물에 삶은 것처럼 검게 마르거나 오그라듦

저온·서리피해 대책

  • 연소법: 톱밥, 땔나무, 왕겨 등을 태워서 과원 내 기온을 올려주는 방법
  • 송풍법: 바람으로 냉기류가 머물지 않고 흘러가도록 하는 방법
  • 살수법: 물을 뿌려주어 잠열을 이용하는 방법(잠열 80cal/물1g)

피해 과원의 사후관리 대책

  • 열매솎기, 병해충 방제 등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수체관리 철저
  • 사전에 꽃가루를 확보하여 인공수분으로 결실량 확보





OPEN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