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것이 힘이다! 이달의 농업기술을 활용해보세요!

이달의 농업기술을 통해 최신 정보 습득에 따른 이슈 대응과 농업기술 향상이 가능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구글플러스

겨울철 농업재해 사전에 예방합시다.

전체목록

선택

겨울철 농업재해 사전에 예방합시다.

눈이 많이 왔을 때(대설) 대책 - 보강지주 설치하고 눈이 잘 녹아내리도록 해야...

  • 단동하우스의 경우 서까래 중앙이 M자 형태로 주저앉는 피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중앙에 보강지주를 2.5∼3m 간격 이내로 설치하고, 하우스 지붕에서 눈이 잘 미끄러 내리도록 밴드(끈)를 팽팽하게 당겨 두어야하며, 넉가래 등을 미리 준비하여 대설시 수시로 하우스 위에 쌓인 눈을 쓸어내린다.
  • 연동하우스는 가온시설의 경우 커튼과 이중비닐을 열고 난방기를 최대한 가동하여 지붕면에 쌓인 눈이 녹아내리도록 하고, 눈이 쌓여 하우스 붕괴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즉시 피복재를 찢어 눈이 흘러내리도록 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 인삼해가림시설 피복재는 미리 걷어두어 피해를 방지한다. 또한 배수로를 사전에 준비하여 녹은 눈이 잘 배수되도록 한다.
  • 간이버섯재배사는 차광망이나 보온덮개 위에 비닐을 한 겹 씌워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눈이 최대한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 과수원에 방조망(새 피해 방지망)을 설치한 농가는 방조망 윗부분을 걷어두어 대설에 의해 붕괴되는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

과수 방조망 및 인삼재배시설 차광망 걷기

  • 방조망 걷기
  • 눈 털기
  • 차광망 걷기

※ 인삼재배시설의 차광망 및 과수원 방조망은 망 윗부분을 걷어 내거나 측면으로 말아두어 적설(눈 쌓임)로 인한 붕괴 피해를 예방한다.

  • 하우스 위에 쌓인 눈 쓸어내기
  • 노후화된 시설 보강지주 설치
  • 시설하우스 고정끈 설치 및 보강

과수 언 피해 (동해) 대책- 사전대책

  • 땅속에 묻어주기, 흙덮기, 나무에 수성페인트 발라주기, 짚 등으로 싸매주어 피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 묻어주기 : 포도나무는 흙으로 30㎝ 정도 덮어줌
    • 싸매주기 : 지상에서 80~100㎝ 부위까지 짚으로 싸매줌
    • 흙덮기 : 지제부에서 30~40㎝ 높이로 흙을 북돋아 줌
    • 백도제, 수성페인트 발라주기 : 지상에서 1m 부위까지 도포
  • 배수가 불량한 과수원은 나무가 약해 언 피해를 더 받기 쉬움으로 철저한 배수관리가 필요하다.
  • 새로 과수원을 조성할 때는 재배지역의 겨울철 기후를 감안하여 내한성 품종 및 저온에 강한 대목을 선택하고, 주위보다 지형이 낮아 찬 공기가 머무르기 쉬운 곳은 피한다.
  • 과수 주간부 볏짚 피복 또는 수성페인트 칠하기
  • 시설파손, 저온피해 우려시 소형터널 설치

과수 언 피해 (동해) 대책- 피해 발생 후 대책

  • 언 피해 정도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이 어려울 때는 꽃눈의 피해 추이를 지켜보며 전정시기를 늦추고 강전정은 피하도록 한다.
    • 전정 시기 : 2월 상순 (보통 때) → 3월 상순 (언 피해 시) - 언 피해 발생 나무는 꽃눈 피해정도에 따라 가지를 손질한다.
    • 꽃눈 50% 이상 언 피해 : 평년대비 열매가지를 2배 이상 남김
    • 꽃눈 50% 이하 언 피해 : 평년대비 열매가지를 20% 더 남김
  • 꽃눈이 죽어 열매가 달리지 않는 나무는 질소비료를 30∼50% 줄인다.
  • 꽃눈 피해가 많을 경우에는 인공 꽃가루받이와 열매를 드물게 솎아준다.
  • 피해를 입은 나무는 웃자란 가지를 활용하여 수관을 형성한다.
  • 지표 근처 원줄기의 피해가 발생했을 때는 탄력성이 높은 고무밴드 등을 이용해 피해 부위는 즉시 묶어주고, 고무밴드는 5월 상·중순경에 풀어준다.
  • 언 피해에 의해 약화된 나무의 원줄기 또는 굵은가지 하단부에는 나무좀이 가해할 수 있으므로 침투이행성이 높은 유기인제 살충제를 희석해 굵은 줄기의 껍질에 살포한다.

동해 방지를 위한 수성페인트 도포 및 반사필름 등으로 감싸주기

  • 동해 방지를 위한 수성페인트 도포 및 반사필름 등으로 감싸주기
  • 동해 방지를 위한 수성페인트 도포 및 반사필름 등으로 감싸주기
  • 동해 방지를 위한 수성페인트 도포 및 반사필름 등으로 감싸주기
  • 동해 방지를 위한 수성페인트 도포 및 반사필름 등으로 감싸주기

농촌지원국 재해대응과 고창호(063-238-1044 )






OPEN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