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황숙기 이삭 발아,쓰러진 벼의 이삭 발아,이삭 발아가 발생한 현미(왼쪽)와 백미에 대해 알아봅시다.
백출은 큰꽃삽주(Atractylodes macrocephala)와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珠皮)를 제거한 것이다. 십전대보탕 등 한방 처방에서 다양하게 쓰이며, 예부터 소화기 질환에 널리 이용하고 있다. 백출은 국내 재배 안정성이 떨어져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국내 소비량의 88%(2012년 기준) 정도를 수입할 만큼 수입 의존도가 높은 작물이다. 2010년에는 43톤이 생산되었지만 2012년 103톤, 2014년 160톤으로 최근 지속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는 작물이기도 하다.
공통 노지 블루베리 화분재배를 위한 센서 기반 물관리 자동화 기술
블루베리는 유기물 함량이 4% 이상이고, 토양 pH가 4.5~5.5인 산성토양에 배수가 양호하고 물이 풍부한 곳에서 잘 자라지만 우리나라에는 그런 지역이 많지 않다. 그래서 토양과 물 관리를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노지가 아닌 화분에 블루베리를 재배하는 농가가 많다. 화분재배의 경우 노지에 비해 물을 오래 머금지 못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물을 자주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화분 내 수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으로 상토를 찔러보거나, 상토를 손으로 움켜쥐기도 하고, 화분을 들어 무게를 가늠하는 등 경험과 직관에 의해 물 관리를 하다 보니 건조나 과습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콩 순지르기는 너무 좁게 심었거나 비가 많이 와서 웃자랐을 때 한다. 순지르기는 본엽 5~7매(꽃피기 전)경에 하는 게 좋고,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영양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옥수수는 단위면적당 영양가 생산량이 가장 많고, 사일리지의 질이 우수하여 가축의 기호성이 매우 높아 양축농가라면 누구나 가장 선호하는 작물이다. 특히 최근 들어 옥수수도 원형곤포 사일리지 조제가 가능해짐에 따라 유통 조사료로서 기능이 한층 높아졌기 때문에 재배면적도 늘어나고 있다. 양질 조사료의 안정적 공급과 축산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재배를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옥수수 사일리지를 만들 때 품질향상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기술들을 소개한다.
병해충 방제 미생물제는 작물생산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기능을 하는 우수 미생물을 선발하여 증량제와 같이 혼합해 제품으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제는 농약관리법에서 천연식물보호제(생물농약) 중에 미생물농약과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 친환경유기농업자재목록공시 법규에 따라 등록하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생물농약시장은 년 13.9% 증가되고 있으며, 국내 미생물산업 시장 규모가 2016년에는 3.4조원이며, 이중에 미생물농약 139억, 미생물비료 297억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여러 주요한 요인 중 하나가 미생물제이다.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산물 시장 규모가 2015년 1.3조원, 2017년 1.9조 원에서 2020년에는 2.2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