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것이 힘이다! 이달의 농업기술을 활용해보세요!

이달의 농업기술을 통해 최신 정보 습득에 따른 이슈 대응과 농업기술 향상이 가능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구글플러스

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이달의 농업기술검색 검 색
  • 약용작물 어떻게 심고 관리해야 하나요 ?

    공통 약용작물 어떻게 심고 관리해야 하나요 ?

    약용작물의 생산량을 늘리고 고품질 생약을 생산하기 위한 첫걸음은 재배하고자 하는 약용작물을 알맞은 시기에 심어 재배하는 것이다. 봄철 약용작물 씨뿌림 제철을 맞아 약초 씨앗(종자)의 선택은 물론 약초 특성에 맞는 적기 씨뿌림 관리 요령을 알아본다.

    • 등록일 2018-04-20
    • 조회수 10214
  • 노지고추 아주심기 전 준비할 사항

    공통 노지고추 아주심기 전 준비할 사항

    노지고추의 아주심기는 보통 중부지방에서는 5월 상순으로 되어 있으나, 온난화 등으로 시기가 빨라지고 있어 지금부터 착실히 준비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빨리 심으면 서리에 의해 어린 순이 녹아내릴 수 있으므로, 늦서리가 지난 이후에 심는 것이 좋다. 고추의 생육적온은 낮 온도 25℃ 내외, 밤 온도 20℃ 내외이다. 이보다 낮으면 생육이 지연되고 후기 꽃피기가 늦어져 수량감소를 초래한다. 낮 온도보다 밤 온도가 더 높아지면 호흡량이 광합성량보다 많아져 모가 황색으로 변하여 연약해진다. 육묘관리를 충실히해야 좋은 소질의 모가 생산되고, 이것이 수량으로 연결된다.

    • 등록일 2018-04-20
    • 조회수 73432
  • 야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육묘 재배법

    공통 야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육묘 재배법

    야콘은 남미 페루를 중심으로 하는 안데스 지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 1985년 처음 도입된 재배 역사가 비교적 짧은 작물이다. 야콘은 1986년과 1987년에 시험연구를 거쳐 1988년부터 본격적으로 농가에 보급되기 시작하여 2009년 166㏊정도 재배되고 있다. 2010년 이후에는 귀농·귀촌 농가를 중심으로 고소득 작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 등록일 2018-04-20
    • 조회수 4394
  • 자가 채종한 약용작물 황기, 도라지, 결명자 종자소독 효과

    공통 자가 채종한 약용작물 황기, 도라지, 결명자 종자소독 효과

    종자가 곰팡이에 오염되면 작물의 싹트기에 문제가 생기고 결과적으로는 수확량 감소 및 품질 저하로 이어지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 재배 1ha 이상 약용작물은 50여종으로 약용작물 종자의 경우 농가에서 씨를 받아(자가채종) 보관하다가 다음 해에 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고추·상추 등 원예작물과 벼·보리·밀 등 식량작물의 경우 종자 전염병예방을 위한 소독약이나 방제법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약용작물의 경우에는 작물별로 등록된 종자소독약이 없어 일부 약용작물에서는 씨를 뿌린 후 종자 부패, 싹트기 불량과 병 발생을 야기해왔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곰팡이균의 오염이 심한 황기, 도라지, 결명자에 대한 종자소독약을 선발하였으며 소독방법 및 효과에 대해 알리고자 한다.

    • 등록일 2018-04-20
    • 조회수 2444
  • 화분매개곤충을 이용한 과채류 수분 기술

    공통 화분매개곤충을 이용한 과채류 수분 기술

    화분매개곤충은 꽃가루를 매개해서 농작물의 열매 맺는데 도움을 주는 곤충을 말하는데 대표적인 곤충으로 벌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고품질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변화에 따라 화분매개 곤충을 이용한 친환경적 수분작업의 수요량이 점차 늘고 있다. 본격적으로 농사를 준비하는 영농철을 맞아 화분매개곤충을 이용해 과채류 수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 등록일 2018-04-16
    • 조회수 3260
  • 건강한 모 기르기를 위한 종자소독은 벼농사의 기본

    공통 건강한 모 기르기를 위한 종자소독은 벼농사의 기본

    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지역 여건에 알맞고 수량보다는 밥맛이 좋은 우량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한 모 기르기를 위하여 확보된 벼 종자는 까락제거(탈망)와 소금물가리기(염수선 또는 수선)를 실시한 후 종자소독, 씨앗담그기(침종) 및 싹틔우기(발아), 씨뿌리기(파종), 모 기르기(육묘)를 실시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종자소독과 씨앗담그기 및 싹틔우기 과정이 중요하다. 이 과정의 관리가 부실할 경우 뜸묘, 키다리병 등 초기육묘병해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건강한 모 기르기를 위한 종자소독에 대해 알아본다.

    • 등록일 2018-04-06
    • 조회수 13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