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최근 비가 잦고 높은 습도로 배추 생육환경이 나빠지면서 무름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물길 정비와 알맞은 거름주기, 약제 방제 등 예방 위주로 관리해 피해를 최소화 해야 한다. 무름병이 발생하면 병든 식물체를 바로 제거하여 전염원을 줄여주고, 등록된 약제를 뿌려 방제해야 한다. 수확 후에는 병든 배추가 재배지에 남아있지 않게 정리해야 병원균 밀도를 낮춰 이듬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최근 기후변화와 식량문제 해결 방안으로 식물공장이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수직형 식물공장에서 딸기 '고슬 품종을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이 ㅆ고, 품질도 우수해 농가소득 향상이 기대된다.
관 하나로 물빼기. 물주기 동시 수행, 무처리 대배 수량 약 40% 증수, 대립종 비율 33% 높아 노지 작물 안정생산 기여
공통 간척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사료피 이용 연중 생산
간척지에 동계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하계 사료피를 연계한 연중 생산 작부체계를 현장에서 실증한 결과 안정적인 풀사료 생산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이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는 노균병, 흰가루병 등 피해 예방 철저히 노균병은 오이에 피해가 큰 중요병해로서 생육 중기 이후부터 잎에 발생한다. 생육 후기에 저온, 다습하면 아랫잎부터 발생하여 큰 피해를 준다.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바람이나 빗물에 의해서 전파되고, 습도가 높을때 잎 뒷면의 기공을 통해 침입한다. 식물체 내에 질소 성분이 부족하거나 쇠약하고 생육이 불량할때 발생이 심하다.
점박이응애는 온도가 높은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며, 시설작물에서는 가온하고 야간조명을 하면 휴면하지 않는다. 발육 시작 온도는 9도 전후이고, 발육적온은 20~28도, 최적 습도은 50~80%로서, 25도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10일이 소요되는데 좋은 환경조건에서는 급속히 개체수가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