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축산물 소비 활성화 방안과 중장기 축산 연구 전략 수립을 위해 실시한 소ㆍ돼지 고기 소비실태 및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한우와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분석해 가축 개량과 가격 안 정화 생산 기술 연구, 보급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최근 고유가 상황 지속으로 난방용 면세유 가격이 2021년 평균 가격 대비 80%나 상승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농가 중 가온과 난방을 하는 농가의 비중은 약 34%입니다. 그중 유류가 원료인 난방 장치를 이용하는 농가는 81%나 됩니다. 시설원예 농가의 경영비 중 난방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3%입니다. 유류가격 및 면세등유 가격 상승이 겨울철 시설원예 농가의 부담을 가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시설원예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 기술을 소개합니다.
공통 재활용 PET 병을 활용한 심지관수 실내정원 만들기
물을 담는 용기인 페트병은 그 안의 물이 비워지면 쓸모가 없어집니다. 그러나 모든 기능을 다 하고 버려지는 페트병도 생명을 길러내는 새로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버리는 페트병을 물 관리가 편리한 화분으로 재탄생시키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배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해충은 약 40종이 있습니다. 이중 대량 발생하면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충은 응애류, 주경배나무이, 노린재류, 진딧물류, 가루깍지벌레류, 잎말이나방류, 복숭아순나방 등 10여 종입니다. 노린재류의 경우 과원 주위 잡초 등에서 겨울을 나며, 주경배나무이, 복숭아순나방, 응애류, 가루깍지벌레류 등은 배나무에서 어린벌레 및 어른벌레 형태로 겨울나기를 합니다. 배나무에서 겨울을 난 해충은 봄에 배나무로 다시 올라가 피해를 주기 때문에 월동 해충의 초기 밀도를 낮춰 주면 이듬해 해충방제에 도움이 됩니다.
공통 완두 안정생산 재배기술
완두(Pea, Pisum sativum L.)는 그 이용성에 따라 채소용·풋완두용·사료용 완두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완두는 대부분 풋완두용으로 품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꽃이 핀 후 20~30일 후 꼬투리를 수확할 수 있으며 밥밑용, 냉동 통조림, 통조림 수프 등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는 편입니다. 콩과작물 중에서 질소 고정 능력이 우수해 2모작 재배지에서 후작물로 재배되어 지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농한기 새로운 소득작물로 기대되는 작물입니다.
어수리는 예로부터 맛과 향이 좋아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다는 유래를 가지고 있는 산채 자원입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강원도 나물밥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또 각종 무기질과 섬유질, 비타민이 풍부해 민간요법에서는 피를 맑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으로 쌈을 싸서 먹기도 하고 다른 산나물과 섞어서 무쳐 먹거나 조림을 할 때 넣어 먹습니다. 최근에는 항산화, 항염증, 면역증진 등 다양한 과학적 효능이 밝혀지고 있어 강원 영월군, 태백시, 경북 영양군, 세종시 등 재배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수리는 아직 대부분 농지에서 재배되기보다는 임야에서 채취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어수리의 생산 및 이용 확대를 위해 기초 재배기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