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고품질 콩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제때 수확, 수확 후 관리, 수확기 전후 재배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콩 건조 시에는 적정 수분 함량을 지켜야 변질을 막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콩 수확 시기를 앞두고 고품질 콩을 얻기 위한 수확 전후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어린 가축은 면역력과 체력이 약해 온ㆍ습도 환경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환절기가 되면 호흡기 질병, 설사병 등에 걸리기 쉬워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린 가축이 건강하게 환절기를 보낼 수 있도록 축사 환경관리에 신경 써 주길 바랍니다. 농촌진흥청은 새끼돼지, 송아지, 망아지 등 어린 가축의 환절기 건강관리 방법을 소개하며 세심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경관작물은 자라는 동안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만들어 주는 작물을 말합니다. 집 주변이나 길가, 휴경농지, 경작지 등에 파종합니다. 이 작물들은 경관 조성 외에도 토양 유기물 공급, 휴경지 잡초 발생 억제, 경사지 관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씨뿌림 시기에 따라 50여 종의 경관작물이 있습니다. 그중 겨울 동안 농작물이 없는 기간에 이용 가능한 작물로는 보리, 호밀,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베치, 꽃양귀비 등 16종이 있습니다. 겨울 동안 이용 가능한 작물을 가을과 봄에 각각 씨뿌림하여 재배한 결과, 가을에 씨뿌림을 하면 꽃피는 시기가 약 20~30일 빨라지고 식물체 생육이 우수해 더 좋은 경관을 조성할 수 있었으며 건물수량도 많이 생산됐습니다.
우리의 고문헌인 고려도경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고려 사람들은 술을 즐기며 생활하였습니다. 그러나 서민들은 양온서에서 빚은 좋은 술을 얻기 어려워 박하고 빛깔이 진한 것을 마시니 별로 취하지 않는다'고 나와 있습니다. 여기에서 서민들이 즐겨 마신 술이란 막걸리 즉, 탁주를 말합니다. 곡류 등을 발효시킨 술에 물을 혼합하여 걸러낸 도수가 낮고 탁한 술입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전이나 두부김치 등과 함께 전통주를 즐겨 마시고 있습니다. 명절 때면 집에서 동동주, 막걸리, 황금주 등 부담 없이 마실 수 있는 전통주를 만들어보겠습니다.
공통 현장에서 찾은 목장형 유제품 생산 농가 경영 노하우
국내 낙농가는 6,135 농장에 젖소는 39만7천 마리입니다. 젖소 1마리당 우유 생산량은 1만412kg(2021년, 국제가축기록위원회(ICAR))으로 세계 3위 수준입니다. 국내 유제품 시장은 백색 시유 소비에서 발효유, 치즈, 버터 등 유가공품 위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1인당 치즈 소비량은 2010년 1.8kg에서 2017년 약 3kg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유제품 시장환경 변화 속에서 고품질의 목장형 유제품을 생산하는 명장들의 노하우를 살펴보겠습니다.
공통 질소비료 깊이 주면 흡수율 높아지고, 암모니아 배출 없어
농촌진흥청은 질소비료 사용에 의한 암모니아 배출량을 줄이고 농작물 생산량은 늘리는 깊이거름주기(심층시비) 연구 성과를 소개했습니다.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심층시비 장치는 암모니아 배출을 억제하고 질소비료 사용량을 줄여 농업인에게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실용적인 저탄소 농업 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