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공통 특유의 향과 맛의 생강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입니다. 특유의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식용 및 약용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생강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로 인도, 중국, 나이지리아 등에서 대부분 생산됩니다. 생강은 수분 83%, 단백질 1.5%, 지방질 0.2%, 당질 1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저론(Zingerone), 진저롤(Gingerol), 쇼가올(Shogaols)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한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블루베리와 같은 기능성 식품의 재배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블루베리는 자가수분이 가능한 작물로 알려졌지만 타가수분 시 고품질의 크기가 큰 과일을 생산할 수 있어 적절한 수분수 선택과 방화곤충 사용은 블루베리 재배 농가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콤한 풋귤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풋귤은 감귤의 기능성 성분을 사용할 목적으로 여름에만 생산되는 귤입니다. 겉은 덜 익은 푸른빛을 띠지만, 잘 익은 완숙 귤보다 기능 성분이 풍부합니다. 농촌진흥청은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풋귤 출하 기간에 맞춰 그동안 연구를 통해 밝힌 풋귤의 기능 성분을 소개합니다.
공통 건전한 콩 종자 생산을 위한 주요 병해충 특징 및 관리 방법
콩 재배할 때 병든 종자는 발아율을 떨어뜨리고 생육 기간에 병을 확산시켜 피해를 키울 수 있으므로 건전한 종자를 생산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콩 건전 종자 생산을 위한 주요 병해충 특징 및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노지에서 재배하는 들깨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에는 들깨잎말이명나방, 점박이응애 등이 있습니다. 긴노린재과의 애긴노린재류(Nysius 속) 3종 역시 들깨 종실을 가해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들깨 종실 수확 시 애긴노린재가 다수 혼입돼 수량과 품질에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동안 들깨 종실을 가해하는 노린재에 관해 밝혀진 바는 없었습니다. 들깨에서 발생하는 애긴노린재의 피해 정도와 애긴노린재가 들깨 종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 결과를 소개합니다.
추석이 평년보다 이른 올해는 어떤 품종의 과일을 구매하는 게 좋을까? 농촌진흥청은 맛과 기능성에서 기존 품종과 차별화된 숙기가 빠른 새 품종을 개발하여 생산자, 소비자, 유통업자가 찾고 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올해는 숙기를 꽉 채운 국산 사과, 배 품종이 9월 초부터 전국적으로 유통된다고 밝혔습니다. ※ 9월 8일이 추석이었던 2014년 이후 최근 8년 중 가장 빠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