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과실의 생리적 장해는 꽃의 수분 및 수정조건, 식물체의 영양상태,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데, 저온이나 구름 낀 날이 계속되면 꽃가루가 터지는 속도가 늦어지며 습도가 높아도 개약이 잘 되지 않는다. 화분은 개화 하루 전부터 발아능력을 갖지만 개화 다음 날 발아능력이 가장 높고 4~5일 후에는 거의 상실한다. 정상적인 개화와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실의 생장이 왜곡되어 기형과 등의 생리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식물체가 어리고 초세가 강한 수확 초기에는 발생이 적으나, 식물체가 노화되고 병이 발생하거나 양분 및 일조부족,건조 등으로 영양상태가 나빠질 때 많이 발생한다.
공통 시설재배 감귤(만감류) 추위 대비 적정 온.습도 관리로 품질 유지
추위에 노출된 만감류는 과육 껍질이 얼고 쓴맛이 두드러져, 품질 저하로 농가소득 감소로 이어져, 영하 1도(℃) 이상 온도 유지와 환기 신경 써야
약용작물은 주로 뿌리를 이용하고, 여러 해에 걸쳐 재배 하므로 수확량과 품질을 높이려면 겨울 관리가 중요하다. 감초, 더덕 등 추위에 유의해야 할 5종 작물의 겨울나기 관리 요령을 소개 합니다.
돈사 내부 적정 온ㆍ습도 유지 와 전염성 질병 및 화재 예방을 위한 전기 시설 등을 사전 점검하고, 노후화된 시설, 장치는 미리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
지역별 기후 조건에 맞는 품목 선택과 안전 작기 준수, 작물·생육기별 최저 한계온도 확보, 보온시설 보완, 내한성 품종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