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것이 힘이다! 이달의 농업기술을 활용해보세요!

이달의 농업기술을 통해 최신 정보 습득에 따른 이슈 대응과 농업기술 향상이 가능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구글플러스

콩 적기 파종

전체목록
선택

적기 파종

적절한 파종시기의 선택은 다수확재배에서 매우 중요

품종선택

품종선택 요령

일반요령

  • 용도에 알맞은 특성을 지닌 품종을 선택한다.(장류용 또는 나물용)
  • 앞, 뒤 그루작물과의 작부체계에 알맞은 생태형의 품종을 선택한다.
  • 토양의 비옥도, 파종시기, 재배지역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수량성

  • 일정한 면적 내에 보다 많은 꼬투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밀식조건에서도 꼬투리 수가 많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생육기간이 90~100일로 짧은 품종은 120~140일인 일반콩보다 수량성이 70~80% 수준이다.

내도복성과 기계수확 적응성

  • 땅에서 첫 번째 달리는 꼬투리 높이가 15㎝ 이상이어야 기계수확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 수확시기에 도달하더라도 꼬투리가 터지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야 수확 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작부체계

주 소득 작물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결정하며 늦뿌림에 대비하여 육묘, 밀식 등 수량감소 등 예방대책을 마련한다.

겨울작물 + 여름작물

보리+콩

  • 영호남 남부지역에서 적용되고 있다.
  • 콩을 6월 중하순에 파종하여 10월 상중순에 수확하고, 조숙 밀을 10월말∼11월초에 파종하면 6월 중순까지 수확할 수 있다.

청보리+콩

  • 축산농가의 사료부족으로 사료용 청보리의 재배가 늘 고 있다.
  • 콩을 6월 상순∼7월 상순에 파종하면 생육일 수가 110∼130일 정도 소요되어 청보리 재배에 필요한 210∼215일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 콩 중생종을 이용하면 수확을 1주일 이상 단축시킬 수 있다.
  • 논 재배 시 에는 수분 피해 예방을 위해 반드시 고휴재배가 필요다.

마늘+콩, 양파+콩

  • 양파는 10월 중하순에 아주심기 하여 6월 상순에 수확하므로 콩 파종과 수확에 지장 없다.
  • 한지형 마늘은 10월 하순에 파종, 6월 중하순에 수확하므로 콩 을 만파재배(6월 하순∼7월 초순 파종)하면 된다.
  • 난지형 마늘은 9월 하순∼10월 중순에 파종하기 때문에 10월 상순까지 거둘 수 있는 가능한 조숙성 콩 품종을 사용해야 한다.

여름작물 + 여름작물

풋옥수수+콩, 봄감자+콩, 담배+콩

  • 초봄에 풋옥수수, 감자, 담배 등을 재배하여 6월 하순∼7월 중순까지 수확이 가능하면, 콩을 7월에 파종하는 심기 차례가 가능하다.
  • 봄 감자는 3월 중·하순에 파종하고, 찰옥수수는 모를 길러 4월 상순에 아주심기하면 6월 중·하순에 수확할 수 있으며, 후작으로 콩을 6월 하순∼7월 상순 사이에 파종하여 10월 중·하순에 수확한다.
  • 담배는 6월부터 수확하는데 잎을 수확한 담배사이로 햇빛이 투과하므로 콩을 입모 중 파종할 수 있다.

재배관리

적절한 파종시기의 선택은 다수확재배에서 매우 중요하며, 콩 재배 시 비료 요구량이 타 작물에 비하여 적어도,
다수확을 위해서는 균형시비가 요구되며, 웃거름 및 잎에 비료 주기도 수량 증대를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파종시기

늦서리의 염려가 없고 토양 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가능하다.

파종시기가 너무 이르면 저온에 의한 피해를 입거나 웃자라 쓰러지는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너무 늦게 심으면 마디 수 확보가 어렵고 콩알이 작아져서 수량이 감소한다.

  • 7월 상순이후 파종 시 6월 중순 파종에 비하여 수량이 20% 감소한다.
  • 중만생종 품종의 경우 7월 상순 이후 파종 시 서리 피해를 입기가 쉽다.

<표 1> 재배유형 및 지대별 콩의 파종시기

재배유형 및 지대별 파종시기 표
재배유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콩 홑짓기(단작) 중북부
남부
6월 상순
6월 상중순
10월 상중순
10월 중하순
콩+겨울작물 남부 6월 중하순 10월 중순
여름작물+콩 남부 6월 하순 10월 하순
콩(단기성)+난지형 마늘 남해안 6월 상순 9월 상순
노지 조숙재배 재배력 표 이미지
<그림 1> 파종시기에 따른 콩 종실품위
(좌: 6월 10일, 우: 7월 30일 파종, 품종: 대원콩)


<표 2> 콩의 적기 파종 대비 수량감소율에 따른 파종 한계기(국립식량과학원, 2012∼2013)

콩의 적기 파종 대비 수량감소율에 따른 파종 한계기 표
생태형* 토양 적기파종
수량성(kg/10a)
수량감소율에 따른 파종 한계기
10% 20% 30%
중만생종 372 6월 26일 7월 6일 7월 19일
336 6월 28일 7월 9일 7월 18일
조생종 292 6월 29일 7월 10일 7월 23일
274 6월 28일 7월 10일 7월 19일

파종 전 토양관리

비료는 파종 전에 전량 밑거름으로 준다.

<표 3> 비료 주는 량(1999년, 농업과학기술원)

비료 주는 량 표
성분 비종 성분량(g/10a) 성분함유량(%) 시용량(kg/10a)
질소 요소 3.0 46 6.5
인산 용성인비 3.0 20 15.0
칼리 염화가리 3.4 60 5.6

파종방법

파종량

  • 재식거리에 따른 종자의 양은 100알 무게에 따라 다르나 표준재배법을 따를 경우 품종에 따라 10 a당 5∼6 kg정도가 소요된다.

재식거리

  • 적기파종을 기준으로 하면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의 적정재식거리는 70 × 15 ㎝(장류 및 두부용), 60 × 10 ㎝(나물용)이며 1주 2본으로 심는다.

파종 깊이

  • 2 ㎝ 이내로 얕게 심는 경우 토양수분이 충분하지 못해 발아가 좋지 않으며, 제초제 살포 시 약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3∼5 ㎝ 깊이로 심는다.
  • 콩은 발아 시 수분요구량이 높으므로 토양수분이 부족할 경우 충분히 관수하여 입모율을 높여야 하며 출현율이 낮을 경우 포트 육묘하여 보식하도록 한다.

잡초방제

잡초방제를 하지 않으면 보통 32∼77 % 정도의 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

콩 생육시기에 따라 토양처리제 또는 경엽처리제를 선택하여 기상, 토양, 수분, 발생잡초의 종류, 발생정도에 따라 알맞은 제초제를 사용한다.

<표 4> 콩밭 제초제의 종류와 사용법

콩밭 제초제의 종류와 사용법 표
구분 출아일수 적용잡초 사용적기
토양처리제 알라유제, 입제 일년생잡초 파종복토직후 200㎖/10a
메토프유제 300㎖
에탈푸로라린유제 60㎖
리누론수화제 100-150g
줄기와 잎 처리제 지호프유제 화본과 잡초 잡초 3-5엽기
세톡시딤유제 잡초 2-4엽기
국립식량과학원 박현진(055-350-1269)





OPEN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