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박세근 063-238-3310
날씨가 추워지면서 작물들은 시설하우스 내에서 관리한다. 밀폐된 포장 환경으로 병해충이 단시간에 크게 발생할 위험이 있다. 시설 내 환경조건을 잘 관리하고 저독성 약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병해충 초기 방제가 가능하고 바이러스와 같은 2차 피해도 막을 수 있다. 겨울철 시설재배지 병해충 관리를 위한 사전 방제법을 소개한다.
토마토 흰가루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오이 노균병
딸기 흰가루병
딸기 잿빛곰팡이병
상추 노균병
- 대부분의 시설작물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경우 콜레마니진디벌을 100마리/10a(발생 전, 매주), 500마리/10a(발생 후, 2주 간격) 밀도로 살포해 해충 밀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 오이 및 토마토에 주로 발생하는 오이총채벌레는 발생 직후 오이이리응애(10만 마리/10a), 애꽃노린재(1천 마리/10a) 등을 투입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 오이, 토마토, 딸기에 적용 가능한 약제에는 보스칼리드, 프로사이미돈, 플루디옥소닐 등이 있으며(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적용약제에는 펜티오피라드, 디페노코나졸(오이, 딸기) 등이 있다.
- 해충 방제 시 목화진딧물은 피메트로진 입상수화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오이, 딸기) 등 적용약제가 등록돼 있으며 오이총채벌레는 클로르페나피르 유제(오이, 토마토) 등이 사용 가능하다.
참고자료
작물별 주요 병해충 방제 약제
작물명 | 병해충 | 적용약제 |
---|---|---|
딸기 | 잿빛곰팡이병 | 보스칼리드, 이프로디온, 프로사이미돈, 펜헥사미드 등 |
흰가루병 | 디페노코나졸, 피라클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등 | |
목화진딧물 | 아세타미프리드, 플로니카미드, 피메트로진 등 | |
점박이응애 | 사이에노피라펜, 아바멕틴, 클로르페나피르 등 | |
총채벌레류 | 스피네토람, 아세타미프리드 등 | |
토마토 | 잿빛곰팡이병 | 보스칼리드, 프라사이미돈, 펜헥사미드 등 |
흰가루병 | 메트라페논, 아이소피라잠, 폴리옥신비 등 | |
가루이류 | 디노테퓨란, 스피네토람, 아세타미프리드 등 | |
작은뿌리파리 | 디노테퓨란, 아세타미프리드, 클로르페나피르 등 | |
총채벌레류 | 디노테퓨란, 메마멕틴벤조에이트, 클로르페나피르 등 | |
오이 | 노균병 | 디메토모르프, 아족시스트로빈, 프로피네브 등 |
잿빛곰팡이병 | 보스칼리드, 프로사이미돈, 플루디옥소닐 등 | |
흰가루병 | 헥사코나졸, 피라클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등 | |
목화진딧물 | 아세타미프리드, 플로니카미드, 피메트로진 등 | |
오이총채벌레 | 아세타미프리드, 에마멕틴벤조에이트, 클로르페나피르 등 |
시설 해충 종류 및 예방법
구분 | 주요 피해 특징 | 예방 요령 |
---|---|---|
총채벌레 | 잎 뒷면에 붙어 흡즙해 잎이 황변하거나 고사함. 꽃이나 열매를 가해할 경우 기형과를 발생시킴 |
- 크기가 작아 육안관찰이 어려우므로 끈끈이 트랩을 사용해 예찰 - 천적 사용시 오이이리응애를 10a당 10만 마리 또는 애꽃노린재를 1,000마리 정도 투입 - 사용 약제: 크로르훼나피르 액상수화제 등의 성분이 들어간 농약 |
진딧물 | 약충·성충이 기주식물의 잎 뒷면을 흡즙함.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등 2차 피해 야기 |
- 순지르기, 노엽제거 등 작업시 세심하게 예찰 - 천적 사용시 콜레마니진디벌을 10a당 100~200마리 정도 투입하고, 부분적으로 발생이 많아졌을 경우 500마리 정도 투입 - 사용 약제: 피메트로진 수화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 등 |
가루이 | 기주식물의 잎 뒷면을 흡즙함. 바이러스 등 2차 피해 야기 |
- 육안 관찰이 어려우므로 끈끈이 트랩을 사용해 예찰 - 천적 사용 시 예방적으로는 온실가루이좀벌을 10a당 1,500 마리, 방제용으로는 3,000 마리 정도 투입 - 사용 약제: 피메트로진 입상수화제, 피리다벤 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등 |
긴털가루응애 | 약충·성충이 잎, 꽃, 열매 모두에 피해를 주며 엽조직을 찢고 흡즙하기 때문에 잎·과실에 상처를 냄 |
- 시설 내 볏짚 피복시 딸려 들어오게 되는데 2주 정도 햇볕에 노출시켜 소독을 하거나 살비제를 살포 후 말린 후 사용 - 천적 사용 시 오이이리응애를 10a당 10만 마리 또는 애꽃노린재를 1,000마리 정도 투입 - 사용 약제: 스피로메시펜 액상수화제, 사이에노피라펜 액상수화제 등 |
작은뿌리파리 | 주로 근권에 서식해 뿌리를 가해하기 때문에 시들음 증세 발생 |
- 끈끈이트랩으로 유인해 방제를 해야하며, 부숙퇴비를 사용치 말고 완숙 퇴비를 사용함 - 사용 약제: 피메트로진 수화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 등 |
주요 해충의 천적 이용 권장표
대상 해충 | 천적 | 천적 상태 | 처리 시기 | 처리 빈도 | 투입량/10a | 비고 |
---|---|---|---|---|---|---|
잎응애 | 칠레이리응애 | 성충, 약충 | 발생직후 | 2~3회 | 6,000 | 치료 |
온실가루이 | 온실가루이좀벌 | 머미 | 발생 전 | 2주 | 1,500 | 예방치료 |
발생 후 | 5~8주 | 3,000 | ||||
잎굴파리 | 굴파리좀벌 | 성충 | 발생직후 | 1~3회 | 500 | 치료 |
굴파리고치벌 | 100 | |||||
총채벌레 | 오이이리응애 | 약충, 성충5령, 성충 | 발생전 | 1~3회 | 100,000 | 치료 |
애꽃노린재 | 1,000 | |||||
복숭아혹, 목화진딧물 | 콜레마니진디벌 | 머미 | 발생전 발생후 |
매주 2주 | 100 500 |
예방치료 |
뱅커플랜트 | 성충 | 발생후 | 1회 | 1~2 | 예방 | |
진딧물류 | 진디혹파리 | 번데기 | 발생시 | 4주 | 1,000 | 치료 |
풀잠자리 | 유충 | 발생시 | 20,000 | 치료 | ||
무당벌레 | 성충 | 발생시 | 3,500 | 치료 | ||
나방 | 쌀좀알벌 | 번데기 | 발생시 | 4회 | 치료 | |
곤충기생선충 | 3령 | 발생시 | 1~3회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