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은 농촌지원국 기술보급과 063-238-0979
빨갛고 새콤달콤한 딸기는 원래 초여름이 제철인 과일이었습니다. 그런데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원예가 널리 보급되면서 겨울부터 봄까지 쉽게 맛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토경재배에 비해 작업이 쉽고 연작 피해가 적은 수경재배를 활용해 다양한 품종의 딸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스마트팜 기술을 딸기 재배에 본격적으로 적용하면서 노동력은 줄고 생산량은 늘어나 더욱 손쉽고 똑똑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딸기 스마트팜 운영 현황>
일반현황 |
◉ 주요작형: 딸기 수경재배, 촉성재배(9월상 정식~5월하 수확) ◉ 주요품종: ‘설향’ ◉ 시설유형: 1-2W형 5연동하우스, 면적 3,300㎡ ※ 폭7m×측고4m×동고7m×길이100m, 남북동 |
---|---|
측정요소 |
◉ 온실 외부 측정: 기상대 1식- 기온,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 - CCTV 2대: 천창, 측창 작동확인 ◉ 온실 내부 측정: 온습도, CO2 센서 2세트 설치- 센서위치: 5동 중 1동 앞, 3동 뒤 - CCTV 2대: 작업장 1, 정중앙1(회전 4포인트, 12배줌) 수경재배: 배지 온‧습‧EC 앞쪽1세트, 배액 pH‧EC 1세트 ◉ 환경데이터: 로컬 PC, 업체서버 ◉ 환경제어: 로컬 PC, 스마트폰 앱 |
제어요소 |
◉ 환기: 천창 좌우, 측창 좌우, 앞뒤 창 3중* *3중: 비닐 2, 다겹커튼 1, 각각 제어(12개 채널) ※ 제어방식: 센서 측정값, 시간, 온오프 제어 중 재배자가 선택가능 ◉ 보온 및 차광: 보온커튼 2중, 알루미늄 커튼 1중 ◉ 유동팬·제습기·난방기: 온오프 개별 제어 |
주요제어 및 활용 |
◉ (제어유형) 기본형+선택1-2-3형 * 기본형(환기, 보온, 생육영상), 선택1(관수), 선택2(난방), 선택3(안전) (주요제어) 천·측창개폐, 커튼개폐, 양액기, 유동팬 등 ◉ (활용기술) 급배액 데이터 활용 정밀양액관리 * 원격제어 및 확인 등 온실관리의 80% 이상을 스마트폰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