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
창업솔루션

-
수도작은 소득목표액을 1억 1천만원, 영농규모 10ha(소유 5ha, 임차 5ha)·시설 및 농기계·농자재·임차 등 총투자액 2억 3,182만원으로 설계
-
전작 고구마는 소득목표액 1억원,전업농규모(7ha), 총 투자금액 2억 7,550만원으로 설계
-
전작 봄감자는 소득목표액 1억원,전업농 규모(12ha), 총 투자금액 2억 2,470만원으로 설계
-
쌀 소비감소 : 74kg/년/인(‘09) → 61.0kg/년/인(‘18)
-
쌀 재고량 증가로 논 타작물 재배 확대
-
쌀 적정 생산을 위한 ‘3저·3고 운동’ 전개(농촌진흥청, 2019)
3저 | 재배면적·질소비료·생산비(소식재배. 직파 등) 절감 |
---|---|
3고 | 고품질쌀 재배·완전미비율·쌀소비 증대 |
-
밭농업 직불제를 논농업 수준으로 개선 추진
-
밭농업 기계화 확산
-
‘17~’18년 감자가격 상승(평년대비 281.5%)으로 정부 ‘수매비축제’ 운영
-
잡곡 소비증가
-
전작물 가공식품 소비증가
-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농신보,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농업인후계자 자금
-
청년농업인 육성정책사업
-
국어촌공사 : 농지 규모화 사업(2030세대), 농지은행사업(2030세대), 농지매입대출사업(2030세대)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홈페이지/현장활용기술정보 (http://www.nics.go.kr)
-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 지역농협 등
-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모임, 식량작물학과 홈페이지 등
-
경제성분석 및 손익분석에 의한 연차별 투자계획에 근거 투자
-
수매(농협 및 민간 RPC), SNS 유통, 직거래 등
-
영농창업계획, 감가상각비, 대차대조표, 현금흐름계획, 소득분석, 손익분석 등
-
연차별 중간평가 및 종합평가·분석에 의한 농장경영 개선
-
선도농장 벤치마킹
출처 : 한국농수산대학 창업설계표준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