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
창업솔루션

-
스마트 팜 시설 양액 딸기 품목 창업설계 및 영농정착 표준모델
소득목표액 : 2억 996만원
영농기반 : 30a(구입 소유)
총 투자액 : 7억
토지구입 : 2억(5년 거치 10년 상환) / 시설투자: 5억(5년 거치 10년 상환)
-
국내 온실면적은 1970년 762ha에서 2000년 52,189ha로 30년동안 68.5배 증가하였으며, 2010년이후 매년 582.4ha씩 증가하여 2015년 기준으로 55,015ha 수준임.
사용연수가 15년이상을 경과한 노후화된 온실이 전체면적의 95%를 차지하고 있어,향후 시설현대화 사업 등을 통한 온실 리모델링 또는 신규온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온실 리모델링 및 신규온실 수요의 증가는 스마트 팜 보급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2017 시설채소 온실현황 및 채소류 생산실적」
-
국7대 과채류 1 인당 연간 소비량 2005년을 정점으로 감소세
2018년 7대 과채류 소비량 전년보다 6% 감소한 38.4kg 추정
수박,토마토,딸기,참외: 2000년 이후 연평균 3% 감소하여 2018년 22.4kg
오이,호박,풋고추: 2010년 이후 16kg 수준 유지

자료: 통계청,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투자연도 | 소요액 | 투자재원 | 비고 | ||
---|---|---|---|---|---|
자부담 | 보조 | 융자 | |||
1년차 상반기 | 200,000 | 200,000 | 귀농귀촌 지원사업 | ||
2년차 상반기 | 500,000 | 500,000 | 스마트팜 종합자금 | ||
5년차 이후 | 200,000 | 40,000 | 100,000 | 60,000 | 농림부 ICT지원사업, 시설원예현대화사업, 에너지효율화사업 |
합계 | 900,000 | 40,000 | 100,000 | 760,000 |
-
영농 5년차 : 에어포그 설치 (1억 투자)
온실의 효율적인 온습도 및 HD관리
고품질상품 생산성 극대화
-
영농 11년차 : 영농규모 2배 (60a) 확대 (10억 투자)
보조,융자를 줄이고 자부담 증액
원예환경시스템학과 표준창업모델 사례 등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조
출처 : 한국농수산대학 창업설계표준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