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
창업솔루션

-
화훼(다육식물 기준) 시설 재배 창업설계 및 영농정착 표준모델(I)
화훼(다육식물 3,000㎡ 운영 기준)
소득목표액 : 9,000만원
영농시설 : 1-2W 비닐 하우스 (하우스 높이 4.5m)
총 투자액: 23,672만원
현대화 비닐 하우스 시설: 7,536만원
난방,관수 및 베드시설: 14,136만원
임차 경비 및 기타 투자: 2,000만원
-
화훼생산: 경영비 증가,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으로 재배면적 및 생산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2017년기준, 농가수 7,421호, 재배면적 4,936ha, 생산액 5,658억원
-
수출입: 국내 화훼 수출액은 2010년 1 억 달러 달성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수입은 증가
2012년까지 국내 화훼류의 80% 이상을 일본으로 수출하였으나 급감
특히,백합·장미·국화 등 절화류는 일본 수출이 95% 이상으로 절대적임
화훼 수입은 난,구근 등 종자·종묘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특히 절화류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임

투자연도 | 소요액 | 투자재원 | 비고 | ||
---|---|---|---|---|---|
자부담 | 보조 | 융자 | |||
1년차 상반기 | 240,000 (시설) |
200,000 (농지) |
- | 240,000 | 시설구비 스마트팜 지원사업 |
5년차 이후 | 200,000 | 200,000 | - | - | 농림부 ICT지원사업, 시설원예현대화사업, 에너지효율화사업 |
합계 | 440,000 | 400,000 | - | 240,000 |
-
후계농자금: 군미필자
-
농업종합자금(청년농 스마트팜 자금): 저리융자
-
귀농귀촌자금: 5년거치 10년 균분상환)
-
시설원예현대화사업: 주산지,연동,자부담 20%
-
지자체별 보조사업으로 관비,난방기 등 설치할 수도 있음
-
안정적인 영농정착 및 영농기술 전문성 축적을 위한 지속적 교육 수강
정책,지원사업 및 기술동향 교육 참석
신품종·신기술,경쟁력제고방안 등 시범사업 적극참여
현장애로 해결을 위한 컨설팅 등 현장방문 교육 수강
유무선 전하, SNS 등을 활용한 최신 영농기술정보 취득
-
소비자 만족도 최상
홈페이지,밴드 등을 통한 구매후기 청취를 통해 품질,배송 등 문제점 개선
-
경영비 절감
꼼꼼한 경영장부 기록을 통한 경영비 항목 분석
ICT활용 가능분야 적용을 통한 생산비 절감
-
생산성 향상
기준 수량,품질 만족도가 미흡하다면 생산환경 점검
토양환경,재식거리,수형 등 종합적 검토 수정
출처 : 한국농수산대학 창업설계표준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