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
창업솔루션

-
소득목표액: 8천5백만원
-
총 투자액 : 5억5천만원
부지구입 5,000만원(100평 x 50만원)
건축 및 유틸리티 2억원(50평 x 400만원)
설비구축비 : 3억원
-
소비정체: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구매력이 높은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17년부터 감소하면서 식품소비기반이 정체
총 인구 증가 추세가 크게 둔화되며 고령화가 급속히 증가
식품소비 정체동향은 가계소비 지출에도 반영되어 식료품비 지출은 정체상태이나,외식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
-
간편성: 1인가구 증가,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에 따라 간편성이 높은 제품,소포장 제품,외식 등을 선호
1인: (‘10) 414만가구→(’15)515, 여성 경제참여:(‘10)49.4%→ (’15)51.8
건강중시: 기대수명 증가,비만·당뇨 등 식습관 관련 질환 증가 등으로 인해 식생활을 통한 질병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 고조
특히,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의 격차가 확대됨에 따라 건강한 노후생활 영위를 위한 기능성식품,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수입증가: FTA 등으로 인해 시장개방이 확대되면서,해외 농식품 수입액이 급격히 증가하고 외국 식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약화
-
대내외 환경 및 라이프 사이클 변화에 따라 품목별 소비패턴 변화 가속화
커피,소스,간편식,건강기능식품이 8년(‘09~’16) 연평균 출하액 증가율 10% 이상으로 고성장

-
원료: 기존 대기업 제품과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원료사용
친환경,무농약,저농약,non-GMO, 농산물생산이력제,무항생제
-
제품: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개인맞춤형 제품
(임산부) 임신성 당뇨,(노인) 소화+영양보강,(유아) 아토피 개선 등
-
생산: 지역가공센터 장비활용 등 초기투자비용 절감을 위한 협력
-
판매: SNS, 친환경 농산물 판매장,지역로컬 인터넷 쇼핑 망
-
안전: HACCP 가공시설
출처 : 한국농수산대학 창업설계표준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