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쇄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밴드 구글플러스

보도자료
보도자료 내용보기

보도자료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출처, 내용, 첨부파일 등 상세구분

과일 맛있고 신선하게 고르고 보관하는 방법
관리자 2007-09-21

= 원예연, 한가위 맞아 과일 잘 골라 보관하는 법 소책자 펴내 =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는 한국저장유통학회와 공동으로 추석을 맞이하여 소비자들에게 시장에서 과일을 잘 고르는 방법과 가정에서 보관방법 그리고 영양가치 등에 대해서 간략히 기술한 실용서를 2천 부 발간하여 양재동 농협하나로마트 과일코너에서 소비자에게 보급하였다.

이 책자에는 사과, 배, 포도, 복숭아, 감 등 20여 종의 과일에 대해 고르는 방법, 영양가치, 가정에서의 보관법 등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어 맛있는 과일 고르는 요령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가정에서 신선하게 오래 보관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어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또한, 과일마다 최적 식용 온도를 제시하여 그동안 모든 과일을 냉장 상태에서만 저장하여 식용하는 것으로 아는 소비자에게 새로운 정보와 함께 더욱 더 과일을 맛있게 즐길 방법을 알려주는 계기가 되었다.

과일을 고를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과일의 모양이다. 과일은 저마다의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잘 살펴보면 나름대로 특징이 있는데 대개가 원형이나 장원형에 가까운 과일이 상품이다.

아무리 색깔이 좋아도 울퉁불퉁한 과일은 과일 종자가 충실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기형과의 일종으로 보면 된다. 따라서 무리지어 있는 과일 중에서 과피면이 균일하여 울퉁불퉁하지 않는 과일을 고르는 것이 품질이 좋은 것이다.

두 번째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서는 과일의 색깔인데 전체적으로 과일은 빨강이나 노랑, 갈색이거나 과면 전체에 균일하고 고르게 착색된 것이 좋다.

특히 미숙과를 고르면 떫거나 입안이 텁텁한 맛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전분 함량이 많기 때문이다. 이를 판별하는 요령은 열매자루(열매꼭지 부위) 반대편의 꽃받침 부위가 파랗지 않은 것을 골라야 한다. 사과, 배, 복숭아 등이 이에 해당이 되는데 꽃받침 부위가 노랗거나 빨간색으로 변해 있는 것을 고르는 것이 상품이다.

또한, 포도는 켐벨얼리, 거봉은 짙은 검정색일수록 잘 익은 포도이며 보라색이 나는 것은 미숙과이거나 재배가 잘못된 것이다.

또한, 포도 과면에 하얀 과분이 많을수록 제대로 익은 것이며 열매자루가 파랗고 단단한 것이 신선한 포도이며 포도를 들어봤을 때 포도알이 떨어지는 탈립이 되는 것은 수확 후 일수 가 많이 지난 것이므로 상품으로 볼 수 없다.

일반적으로 과일의 감미도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단맛을 많이 느끼는데, 이는 당 성분 조성 중에서 α(알파형)과 β(베타형)이 있는데 온도가 내려갈수록 β형이 증가를 하여 감미도가 α형보다 3배가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온도가 일정 이상 더 많이 낮아지면 혀가 너무 차가워서 둔감해지기 때문에 단맛을 못 느끼게 되므로 무조건 차게 해서 먹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박, 참외, 복숭아, 사과의 가장 먹기 좋은 온도는
    - 수박 : 8~10℃
    - 참외, 배, 사과, 포도, 단감, 자두, 멜론 : 5~7℃
    - 복숭아 : 8~13℃ (육질이 연한 복숭아 11~13℃, 단단한 복숭아 8~10℃)
    - 떫은감 (연시) : 15℃
    - 토마토 : 12~13℃ 이다.

사과, 키위, 자두, 토마토, 멜론 등은 에틸렌이라는 후숙 호르몬이 다량 배출되어 다른 과일과 혼합해서 보관을 하면 후숙 호르몬의 영향으로 쉽게 노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같이 보관을 피하는 것이 좋다.

사과나 배 등을 가정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서 신선하게 맛을 즐기려면 폴리에틸렌 필름에 밀봉하여 보관하면 사과, 배가 수분 손실이 거의 없어서 한달에서 두 달 정도는 아주 아삭아삭한 맛을 즐길 수가 있다.

[문의]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홍윤표 031-240-3654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담당자 : 해당 게시물 작성자 및 전화번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