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쇄 스크랩
정부업무평가소개

평가지표 체계 및 측정 기준(주요정책 부문)

평가지표 및 측정방법 표

평가지표 및 측정방법를 나타내는 표로 평가 시기,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방법 및 기준, 배점으로 구분하여 설명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방법 및 기준 배점
▪ 성과달성도(35점) 1.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관리과제 성과지표 목표치의 달성도 15
2. 성과지표의 적절성 ▹목표치의 적극적 설정 정도

▹성과지표의 대표성 확보 정도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성과지표, 전략목표 성과지표, 국정과제 관련 과제의   성과지표

8

7

+2
3. 과제의 성격 ▹과제수행의 난이도, 중요도, 창의성 등 5
▪ 계획 수립의 적절성(10점) 1. 현장의견 수렴 및     정책반영의 충실성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

▹현장의견 수렴 결과를 계획 수립 및 정책에 반영

▹성과지표 선정 시 내부 토론 및 검토
5
2. 정책분석의 적절성 ▹정책효과 또는 장단점 분석 결과 도출된 보완사항에 대한 대비책 수립 5
▪ 시행 과정의 적절성(20점) 1. 추진일정의 충실성 및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성 ▹과제별 추진계획을 준수 여부,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에의 대응 정도 5
2. 관련기관 및 정책과의     연계성 ▹관련기관 및 정책과의 연계와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협업과제 추진한 실적

▹협업과제 추진 우수사례

5

+3

3. 자체평가 참여 노력 ▹분과위원회를 적절히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운영

▹자체평가 참여 및 효율적 운영에 기여

5
4. 정책개선을 위한 소통     및 환류 이행실적 ▹정책개선을 위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실적과 업무개선에 활용한 실적

▹전년도 자체평가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계획 수립 및 조치계획에 대한 이행실적

5
▪ 정책 효과성(35점) 1. 당초 의도한 정책 효과     발생 정도 ▹정책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계량화된 성과

▹당초 의도하지 않는 부수적 정책효과가 발생한 성과

▹국정현안 대응노력 및 정책성과

▹향후 국민대상의 경제적·사회적 정책효과 발생이 기대되는 정도

▹국민대상 체감만족도 조사

15

5

+3

5

10

2. 부수적 정책 효과
3. 향후 기대효과
4. 관리과제별 고객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