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항목 | 평가지표 | 측정방법 및 기준 | 배점 |
---|---|---|---|
▪ 성과달성도(35점) | 1. 성과지표의 목표 달성도 | ▹관리과제 성과지표 목표치의 달성도 | 15 |
2. 성과지표의 적절성 | ▹목표치의 적극적 설정 정도 ▹성과지표의 대표성 확보 정도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성과지표, 전략목표 성과지표, 국정과제 관련 과제의 성과지표 |
8 7 +2 |
|
3. 과제의 성격 | ▹과제수행의 난이도, 중요도, 창의성 등 | 5 | |
▪ 계획 수립의 적절성(10점) | 1. 현장의견 수렴 및 정책반영의 충실성 |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 ▹현장의견 수렴 결과를 계획 수립 및 정책에 반영 ▹성과지표 선정 시 내부 토론 및 검토 |
5 |
2. 정책분석의 적절성 | ▹정책효과 또는 장단점 분석 결과 도출된 보완사항에 대한 대비책 수립 | 5 | |
▪ 시행 과정의 적절성(20점) | 1. 추진일정의 충실성 및 상황변화에 대한 대응성 | ▹과제별 추진계획을 준수 여부,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된 상황변화에의 대응 정도 | 5 |
2. 관련기관 및 정책과의 연계성 | ▹관련기관 및 정책과의 연계와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협업과제 추진한 실적 ▹협업과제 추진 우수사례 |
5 +3 |
|
3. 자체평가 참여 노력 | ▹분과위원회를 적절히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운영 ▹자체평가 참여 및 효율적 운영에 기여 |
5 | |
4. 정책개선을 위한 소통 및 환류 이행실적 | ▹정책개선을 위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실적과 업무개선에 활용한 실적 ▹전년도 자체평가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계획 수립 및 조치계획에 대한 이행실적 |
5 | |
▪ 정책 효과성(35점) | 1. 당초 의도한 정책 효과 발생 정도 | ▹정책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계량화된 성과 ▹당초 의도하지 않는 부수적 정책효과가 발생한 성과 ▹국정현안 대응노력 및 정책성과 ▹향후 국민대상의 경제적·사회적 정책효과 발생이 기대되는 정도 ▹국민대상 체감만족도 조사 |
15 5 +3 5 10 |
2. 부수적 정책 효과 | |||
3. 향후 기대효과 | |||
4. 관리과제별 고객만족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