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어린이 농촌진흥청
국가상징 알아보기
화면크기
작게
보통
조금 크게
크게
가장크게
초기화
English
통합검색
검색
로그인
전체메뉴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공공데이터개방
재정정보
해외출장비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청구
비공개세부기준
사전정보공표
사전정보공표 목록
공개정보방
업무추진비
기록관리정보
감사정보공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국민신청실명제
정책실명제
공공데이터개방
재정정보
일반재정
국고보조금
해외출장비
기관장 해외출장비
기관 해외출장 내역
국민소통
국민의 소리
신고함
참여마당
규제혁신정보
적극행정
홈페이지 불편신고
국민의 소리
민원
민원 이용안내
서식민원 안내
일반민원 신청
나의 민원 조회
농업기술 상담예약
자주하는 질문
110수어 상담
전자공청회
정책토론
설문조사
신고함
부정부조리신고
부패공익신고
예산낭비신고센터
보조금부조리신고센터
참여마당
칭찬합시다
규제개선건의방
국민제안방
공무원제안
규제혁신정보
농업분야규제개혁 사례
규제혁신 과제현황
심사중인 규제법안
부처별보도자료
규제법령정보
규제혁신 홍보자료
국민 규제입증요청
적극행정
제도소개
국민참여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 신고
적극행정 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홈페이지 불편신고
농촌진흥사업
업무계획
주요연구성과
업무계획
2025년 주요업무계획
지난 주요업무계획
농촌진흥사업 기본(시행)계획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계획
농촌지도사업 시행지침
주요연구성과
연구성과 보고서
연구성과 보고서 2023
연구성과 보고서 2022
연구성과 보고서 2021
연구성과 보고서 2020
연구성과 보고서 2019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정책홍보
새소식
알림마당
사이버구독
홍보콘텐츠
사진마당
새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설명/해명
주요행사계획
인물/동정
농촌지방소식
알림마당
배너
알림판
사이버구독
농업기술
그린매거진
홍보콘텐츠
동영상
카드뉴스
정보 그림
사진마당
사진마당이용안내
사진검색
사진원화신청현황
사진으로보는사업
행정/정보
채용·인사정보
입찰정보
정부업무평가
법령정보
특허
행정운영정보
채용·인사정보
채용공고
채용 Q&A
인사관리
입찰정보
입찰공고
집행기준
정부업무평가
정부업무평가소개
평가자료실
법령정보
농촌진흥청 법령
국가법령정보센터
행정운영정보
물품관리정보
국회관련정보공개
정부위원회활동현황
비영리법인등록현황
공직윤리
이용안내
도움말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방침
로그인 이용하기
뷰어프로그램안내
RSS이용안내
지방농촌진흥기관
도움말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방침
로그인 이용하기
뷰어프로그램안내
RSS이용안내
지방농촌진흥기관
농진청소개
기관안내
조직안내
캐릭터소개
청·차장 소개
청사 개방 안내
찾아오시는길
기관안내
연혁
미션과 비전
예산
조직안내
조직도·정원
직원소개
CI소개
캐릭터소개
2세대 캐릭터(2024.04~)
1세대 캐릭터(2008.04~2024.03)
청·차장소개
청장인사말
청·차장공간
청장소개
차장소개
청·차장일정
업무추진비 공개
청장활동앨범
청장과의 대화
소속기관장소개
역대청·차장명단
청사 개방 안내
농촌진흥청(본청)
농촌진흥청 둘레길(산책로)
연구현장 탐방신청
소속기관 견학신청
찾아오시는길
찾아오시는길
농촌진흥청 내부
전체보기
국가상징 알아보기
English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을 해주세요.
정보공개
국민소통
농촌진흥사업
정책홍보
행정/정보
이용안내
농진청소개
전체보기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청구
비공개세부기준
사전정보공표
사전정보공표 목록
공개정보방
업무추진비
기록관리정보
감사정보공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국민신청실명제
정책실명제
공공데이터개방
재정정보
일반재정
국고보조금
해외출장비
기관장 해외출장비
기관 해외출장 내역
국민소통
국민의 소리
민원(하위메뉴)
이전화면
전체메뉴 닫기
민원
민원 이용안내
서식민원 안내
일반민원 신청
나의 민원 조회
농업기술 상담예약
자주하는 질문
110수어 상담
전자공청회
정책토론
설문조사
신고함
부정부조리신고
부패공익신고
예산낭비신고센터
보조금부조리신고센터
참여마당
칭찬합시다
규제개선건의방
국민제안방
공무원제안
규제혁신정보
농업분야규제개혁 사례
규제혁신 과제현황
심사중인 규제법안
부처별보도자료
규제법령정보
규제혁신 홍보자료
국민 규제입증요청
적극행정
제도소개
국민참여(하위메뉴)
이전화면
전체메뉴 닫기
국민참여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 신고
적극행정 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홈페이지 불편신고
농촌진흥사업
업무계획
2025년 주요업무계획
지난 주요업무계획
농촌진흥사업 기본(시행)계획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계획
농촌지도사업 시행지침
주요연구성과
연구성과 보고서(하위메뉴)
이전화면
전체메뉴 닫기
연구성과 보고서
연구성과 보고서 2023
연구성과 보고서 2022
연구성과 보고서 2021
연구성과 보고서 2020
연구성과 보고서 2019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정책홍보
새소식
공지사항
보도자료
설명/해명
주요행사계획
인물/동정
농촌지방소식
알림마당
배너
알림판
사이버구독
농업기술
그린매거진
홍보콘텐츠
동영상
카드뉴스
정보그림
사진마당
사진마당이용안내
사진검색
사진원화신청현황
사진으로보는사업
행정/정보
채용·인사정보
채용공고
채용 Q&A
인사관리
입찰정보
입찰공고
집행기준
정부업무평가
정부업무평가소개
평가자료실
법령정보
농촌진흥청 법령
국가법령정보센터
특허
행정운영정보
물품관리정보
국회관련정보공개
정부위원회활동현황
비영리법인등록현황
공직윤리
이용안내
도움말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방침
로그인 이용하기
뷰어프로그램안내
RSS이용안내
지방농촌진흥기관
농진청소개
기관안내
연혁
미션과 비전
예산
조직안내
조직도·정원
직원소개
CI소개
캐릭터소개
2세대 캐릭터(2024.04~)
1세대 캐릭터(2008.04~2024.03)
청·차장 소개
청장인사말
청·차장공간(하위메뉴)
이전화면
전체메뉴 닫기
청·차장공간
청장소개
차장소개
청 ·차장일정
업무추진비 공개
청장활동앨범
청장과의 대화
소속기관장소개
역대 청·차장명단
청사 개방 안내
농촌진흥청(본청)
농촌진흥청 둘레길(산책로)
연구현장 탐방신청
소속기관 견학신청
찾아오시는길
찾아오시는길
농촌진흥청 내부
어린이 농촌진흥청
소속기관 사이트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레이어 닫기
지방농촌진흥기관 사이트
농업기술원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특광역시농업기술센터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지방농촌진흥기관 전체보기
레이어 닫기
국제협력기간 사이트
국제협력기관 사이트
AFACI (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AFACI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oLFACI (한·중남미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국제 농업 연구 기관
미국농업연구소
중국농업과학원
칭다오농업대학
농업식품산업기술종합연구기구
필리핀 농업 협회
필리핀 농림수산자연자원연구개발위원회
와게닝헨대학연구센터
스웨덴 농업과학대학교
터키 국제농업연구소
조지아 농과원
케냐 농축산연구청
국제 농업 기구
국제식량정책연구소
세계채소센터
국제미작연구소
유엔식량농업기구
국제열대농업연구교육센터
국제옥수수밀연구소
국제유기농연맹
국제감자연구소
경제협력개발기구
국제농업연구자문기구
레이어 닫기
유관기관 사이트
정부 조직도(정부24)
농림축산식품부
산림청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종자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레이어 닫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본문영역
기간
선택
선택
2017년
2016년
시작월 선택
선택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종료년도 선택
선택
2017년
2016년
종료월 선택
선택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제목
검색어 입력
한국형 친환경 순환식 수경재배 기술 개발
성과내용
배양액 재활용을 위한 생육단계별 표준 양액조성 및 친환경 배액 살균소독시스템 개발 - 신조성 양액으로 상품수량 5~20% 증수(기존 암면재배 표준양액 대비) - 살균 후 양액의 성분변화가 없고, 세척을 위한 별도의 약제가 필요 없음 ※ 수입산 UV살균기 초기 투자비(1ha기준 약 6천~1억원)대비 80% 설치 비용절감 생육단계별 양액제어 모델을 기반한 순환식 양액제어 프로그램 개발 -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운영 프로그램(v.1.0) 등록(2017. 2.) 친환경 기능성 채소생산 기술 개발 및 기술이전 - 기술이전(유상) : 저질산 또는 저칼륨 함유 채소생산을 위한 수경재배방법(10-2016-0127610) ☞ 실시료 (1,872 천원), ㈜엔씽 현장평가회 및 성과 대국민 홍보 : 1석 3조 한국형 순환식 수경재배 개발 등 - KBS(중앙), MBC(지방), KNN, 농민신문 등 20여개 언론 보도
고추묘를 한 개씩 자동으로 뽑아서 심는 정식기 개발
성과내용
○ 묘를 한개씩 자동으로 뽑아서 심는정식기 개발 - 육묘트레이 이송, 묘 뽑기, 묘 이송, 심기 동시 작업형 정식장치 개발 - 적용육묘 : 원통형종이포트묘(40공) - 엔진, 동력전달시스템, 조향장치 등 2조식 정식기 주행부 설계 제작 - 묘뽑기(밀어내기 + 짝어내기), 묘이송(고무벨트), 묘 공급(자유낙하), 식부(체인구동식) - 결주율 : 5%(묘 뽑기, 이송, 공급 실패율 : 2%, 정식 실패율 : 3%)
버섯파리 포획기, PLS 걱정없는 1석 3조 친환경 방제효과
성과내용
버섯파리 유인기술 및 포획기술 개발 : 특허 출원 2건, 등록 1건, 논문 4편 버섯파리 유인 특허 기술이전 : 2건 - 기 술 명 : 버섯파리 유인용 유효광원 및 그 선발장치 - 이전업체 : 대동기업사(5년), 청솔애니텍(5년) - 기술실시료 : 3,000천원 (통상실시, 연간 판매액 2%) ※ 2017년 9월 기준 예상판매실적 : 200백만원정도 예상 - 기술특징 : 368nm 피크파장을 가진 블랙형광램프를 활용한 버섯 파리 포획기이며, 버섯파리 포획기 2대 설치로 인한 방제가 90.4%로 농가만족도가 높음. ※ 1석 3조 방제효과 : 버섯파리, 버섯응애, 세균성갈색무늬병 동시 방제 버섯파리 방제기술 기술보급 - 형광램프이용 버섯파리 포획기술시범 (′17, 경북 도비시범) : 경북도 내 20개소, 30백만원 - 버섯파리 친환경 종합관리기술시범 (′17, 농촌진흥청 국비시범) : 전국 10개소, 500백만원 (도내 고령군, 50백만원) 버섯파리 포획기 현장설명회 및 평가회 개최 : 2회 - 버섯파리 유인기술 양송이 확대적용 설명회 개최 (경주양송이연구회, 16.5.9.) - 경상북도버섯품목연합회 교육 (버섯파리 포획기 현장 연시, 17. 3. 21.) 버섯파리 포획기 활용 영농교육 : 8회 (칠곡군, 고령군, 경산시 등)
쌀풍년 발생 조건에 대한 기상학적 분석
성과내용
2015년 수준의 대풍이 발생하기 위한 수량구성요소 구명 - 출수전 결정 수량요소 : 면적당 영화수 36,000개 이상 - 출수후 결정 수량요소 : 등숙율 90% 수준, 천립중 23g 이상 *작황조사 시험 분석 결과 대풍발생 수량구성요소를 성립시키는 기상 요소 - 7월 평균일조 5.1 시간 이상 필요->출수전 수량요소 결정 - 8월 하순 9월 중순 평균일조 6 시간 이상필요->출수후 수량 요소 결정 대풍발생 가능 기상요소의 발생 빈도 (1981-2015, 35년) - 7월 평균일조시간 5.1 시간 이상 : 19번 발생 - 8월 하순 9월 중순 평균일조시간 6 시간 이상 : 15번 발생 -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 : 8번 발생 => 2015년 수준의 풍년은 기상학적으로 8회/35년 빈도로 발생
꿀벌 야외터널 시험법 구축
성과내용
○ OECD No.75 꿀벌 야외시험법을 국내 최초 구축 ○ 국내 시험에 적합한 양성대조군 설정 ○ 난유충발육도 측정을 위한 포토박스 제작
멧돼지 대량포획으로 농작물 보호
성과내용
1.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멧돼지 포획기술보급 ○ 전국 자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현장설명회 실시 및 관련기술 현장컨설팅 실시 - 연구결과 : 트랩포획효율 6마리/34일/2트랩 - 포획트랩 이용기술 매뉴얼 보급, 포획트랩 도면 제공 등 ○ 지방자치단체의 멧돼지포획단과 공동 사업화 - (‘16) 0건 → (’17) 영천시, 대구광역시 등 6 2. 농업인 참여형 멧돼지 포획기술 확산 ○ 농업인이 우선 포획 후 수렵인의 처리체계 정착 - 피해 상습지역에 대한 농업인 포획기술교육 실시(4회) - SNS를 통한 관련기술 홍보 및 컨설팅 실시(16회) * 관련 SNS(회원수) : 배사랑방(1,227), 감사랑방(339), 식물보호연구회(962), 참다래기술공감(958), 단감기술공감(517) 등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 유래 생물신소재 개발
성과내용
◈ 흑염소 반추위 미생물 메타게놈 유전자은행 구축 및 생물신소재 발굴 시스템 구축 □ 신규 섬유소, 지방, 단백질 분해효소 유전자 대량 발굴(홍보) - 흑염소 반추위 메타게놈 유전자은행에서 신소재 유전자 발굴 * 총 1,358개 클론(섬유소분해 945개, 지방분해 374개, 단백질분해 39개) - 대량생산 가능한 분비형 바실러스 균주 개발 28건 - 농식품부 정례 브리핑(5.17) * 흑염소 배 속에서 사료첨가제·세제 만드는 ‘효소’ 발굴 * 총 91.8점(TV 4건, 신문 및 잡지 30건 등) - SCI 논문 2건 게재 * Folia Microbiota 2017 62(3): 175-181 * Journal of Food Science 2017 82(3): 585-593 □ 신규 섬유소분해효소 유전자 31개 기술이전 - 기술이전 업체: ㈜대호 - 유상 기술이전액 : 총 167,176,800원(5,392,800원/건X31건) - 기술이전 행사 개최(농업기술실용화재단, 7.4)
선제적 가뭄대응을 위한 밭 가뭄 현황 및 예측 정보 제공
성과내용
시군 단위 밭 가뭄 현황 및 예측정보 제공 강화 - 토양유효수분율 기준 ‘주의’, ‘심함’, ‘매우심함’ 3단계로 구분 * 정상(45% 초과), 주의(15∼45), 심함(15∼45 10일 이상), 매우심함(15 이하) - 제공주기단축 : 격주(‘16) → 주1회 (’17.3∼5), 주2회(6∼) - 웹서비스제공 : 농사로, 흙토람, 옹달샘 ☞ 가뭄 상황의 신속 전파로 정책 및 영농 의사결정 지원 전국 토양수분관측망 운영 : 표토 10 cm 실시간 수분 현황 제공
농가경영기록을 활용한 어깨동무 컨설팅 추진
성과내용
한국최초로 농업분야 어깨동무컨설팅 창안 : 2016.6.13. 어깨동무컨설팅 추진 : 4작목(사과, 참다래, 딸기, 배) 어깨동무컨설팅 확산 교육 실시 - 3. 9(목) ~ 5.2(화) / 총 5회 - 대상 : 농업인(농산물소득조사농가, e-비즈니스농가),시군센터소장, 경영담당자, 읍면농업인상담소장 415명 * 강의내용 : 어깨동무 컨설팅 이해, 농촌지도사업 어깨동무컨설팅 활용법
보는 유채에서 먹는 유채로!
성과내용
버려지던 경관용 유채, 유채기름 가공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 기존 수입 식용유(카놀라유) 시장에 저온압착유·볶은 유채유 생산을 통한 신산업시장 제시 - 기능성 성분 풍부한 국산 친환경 유채 사용으로 국민건강 증진 - 착유법 개발 : 유채 고유의 맛과 향 극대화, 토코페롤, 식물성 스테롤 풍부 유채 압착유 활용 기능성 성분 풍부한 식재료 활용법 제시 - 유채 압착유 이용 디핑소스 제조방법 개발 특허 출원 - 샐러드유, 소스유, 양념유로 활용, 기존 압착유인 참기름, 들기름 대용 가능 유채 자원순환모델 활성화 거점단지 육성 - 전남(진도·해남, 50ha)·경남(창녕·합천, 100ha) 지역 현장 적용 - 유채 기름과 착유부산물인 유채박을 활용해 농가소득 3배 증가 - 경관용 유채(170만원/ha) → 자원순환(510만원/ha) - 경관용 유채 3,370ha 자원순환시, 경제적 가치 : 약 170억 원 이상 (홍보) 55건(TV 8, 라디오 3, 중앙지 10, 지방지 6, 전문지 등 28건)
‘반려동물 집밥 만들기’ 웹 프로그램 개발
성과내용
◈ 반려동물 입맛에 맞는 사료를 과학적이면서 쉽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개발했음 * 농사로 누리집(www.nongsaro.go.kr) ‘생활문화’ 접속→품종, 성장·활동 단계 등 입력하고 원료 선택→ 영양소 요구량 계산→ 사료 배합비율, 급여량 정보 제공→ 재료 구입 후 만들기 * 농축산물, 수산물 등 식품 307종과 단백질, 지방, 칼슘 등 17개 영양성분 자료(데이터베이스) 제공
쌀 적정생산을 위한 「3저 · 3고 운동 」추진
성과내용
□ 쌀 적정생산을 위한 현장기술지원단 운영 ○ 논 농업 현장기술지원단 발대식 개최(2.7, 350명) - 『3저·3고 실천』 결의문 낭독(농업인단체, 농촌진흥기관 대표), 주요 농기계 전시 및 재배기술 화판 전시 등 ○ 쌀 적정생산 추진단 발대식 개최(2.13, 300명, 농식품부) - 결의문 낭독(지자체·농업인 대표), 수급안정 추진방안 설명 등 □ 『3저·3고 운동』 실천 교육 및 홍보 ○ 쌀 적정생산 “3저·3고” 실천 리플릿 제작·배부(3종, 15만부) - 실천홍보(2.13, 5만), 타작물재배(3.20, 5만), 질소비료 감축 시용(3.20, 5만) ○ 논이용 밭작물 재배기술 매뉴얼 제작·배부(2.13, 1천부) ○ 도원 및 시군센터 홍보 홍보현수막 제작·배부(3.17, 640매) ○ 『3저·3고 실천운동』 현장지원 및 교육(23만명) ○ 발대식 및 현장기술지원단 운영 언론 홍보(방송 6건, 신문 31건 □ 대내외 협력체계 구축 ○ 『쌀적정생산추진단』 및 『논농업 현장기술지원단』운영 * 농식품부, 농진청, 지자체, 농협 등 유관기관 역할분담 추진 ○ 농협 합동 농기계사업단 및 논 농작업 대행사업 연계 직파재배 사업 확대 추진 * (‘14) 9개소 → (’15) 20 → (‘16) 61 → (‘17) 100
동물매개치유 문화교실 운영
성과내용
○ 동물매개치유 문화교실 추진 계획 수립(1. 17) ○ 도시민 대상 문화교실 홍보 : 40건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페이스북, 블로그, 언론보도 등 ○ 제1기 동물매개치유 문화교실 개최 - 일시·장소 : 2017. 3. 11(토) 13:30~16:00, 농촌진흥청 - 참석인원 : 48명(도시민 32명,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10명, 축산원장 및 생환부장, 관계자 등) - 주요내용 : 반려동물 연구개발 및 보급 소개, 특강(사람과 동물의 교감), 반려견과 함께하는 치유활동, 만족도 조사 등)
피마자 유박 중 리신 정량분석법 국내최초 개발 및 함량조사
성과내용
○ 피마자 중 리신분석법 국내최초 개발(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공동) ○ 수입산 피마자 원료와 국내 제조 비료 중 리신함량 파악과 위해성 평가
곤충산업의 가치 확산을 위한 곤충 전문 인력육성
성과내용
°「곤충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지정 / 농촌진흥청(2016.8.1) - 특·광역시 최초 지정 ° 대전곤충산업아카데미 교육 운영 / 개강식 (2017.3.3) - 인원 : 40명 (관내 곤충생산업신고자, 사육희망농업인) - 과정 : 25주 (112시간 : 강의 71, 실습 23, 견학 18) - 내용 : 곤충 사육기술, 곤충산업화 응용기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