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농촌진흥청

      농촌지방소식

      스마트팜 기술도입 파급효과 크다

      • 작성자 최동호

      • 작성일 2022-01-10

      스마트팜 기술도입 파급효과 크다
      -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 결과 -

      스마트팜

       전라북도농업기술원(원장 박경숙)에서 발표한 스마트팜 1세대 기술도입에 따른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설재배 과채류인 딸기, 토마토, 파프리카, 방울토마토의 평균 시설재배면적 대비 2030년 스마트팜 1세대 기술도입에 따른 스마트팜 보급률 추정 결과, 딸기는 35.4%, 토마토 35.8%, 파프리카 38.2%, 방울토마토 35.8%까지 스마트팜 재배면적이 확대될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여 국민경제 파급효과를 측정한 결과, 스마트팜 기술도입에 따른 4개 과채류의 총 생산 유발효과는 694,605백만원이며, 이에 따른 총 취업 유발효과는 15,654명으로 스마트팜 기술도입에 따른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기술도입 후 부가가치 증진에 따른 파급효과로 스마트팜 딸기는 생산 유발효과가 316,845백만원, 취업 유발효과 7,182명이며, 스마트팜 토마토는 생산 유발효과 210,404백만원, 취업 유발효과 4,769명, 스마트팜 파프리카는 생산 유발효과 66,095백만원, 취업 유발효과 1,498명, 스마트팜 방울토마토는 생산 유발효과 101,261백만원, 취업 유발효과 2,295명으로 분석되었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김홍기 농업연구사는 “스마트팜 1세대 기술도입에 따른 국민경제 파급효과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스마트팜 기술 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한 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스마트팜 세대 진전 촉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전북농업기술원 자원경영과 김 홍 기 농업연구사  063-290-6122)

      담당자 : 해당 게시물 작성자 및 전화번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