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국소희
작성일 2025-09-18
출처 연구정책국
- 농촌진흥청,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한국농식품생명과학협회·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공동 주최
- 그린바이오 유망 신산업 육성 전략과 공공부문 역할 논의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한국농식품생명과학협회,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과 공동으로 9월 18일,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 효석홀에서 ‘2025년 농진청-농대협-농과협 공동 학술 토론회(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그린바이오 유망 신산업 육성 전략 및 공공부문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 토론회에는 농촌진흥청과 학계, 지방 농촌진흥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농업과 그린바이오 산업의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그린바이오 산업의 가능성과 공공부문 역할을 다룬 기조 강연에 이어 주제 발표, 종합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남재작 소장은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을 위한 산업구조 재설계 및 공공부문의 역할’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했다. 경북대학교 김경민 교수는 ‘농업은 최고의 과학이다’라는 주제로 농업의 과학적 가치와 미래 잠재력을 피력했다.
농촌진흥청 신운철 바이오푸드테크팀장은 ‘그린바이오 연구개발(R&D) 중장기 연구 방향’을 통해 농촌진흥청의 그린바이오 연구전략을 소개했다. 전북대학교 주호종 교수는 ‘왜 그린바이오인가?’라는 발표에서 그린바이오 산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했다.
종합 토론은 경북대학교 정희영 농업생명과학대학장(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장)이 좌장을 맡아 서울대학교 강병철 농업생명과학대학장, 원광대학교 구양규 원예산업학과 교수, 국립농업과학원 방혜선 농업생물부장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학계와 공공기관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정책적·기술적 해법을 모색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공동 학술 토론회가 그린바이오 산업이 농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전략과 과제를 공유하는 장이 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산·학·연·관이 힘을 모아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혁신 모형(모델)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그린바이오 산업은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미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핵심 분야이다.”라며, “농업과 바이오가 융합하는 혁신적인 임무를 제시하고, 공공부문 역할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18-2_(즉시보도_전매체)2025년농진청농대협농과협공동학술토론회개최(연정국).hwp [762.00 KB]
18-2_(즉시보도_전매체)2025년농진청농대협농과협공동학술토론회개최(연정국).hwpx [753.25 KB]
18-2_(즉시보도_전매체)2025년농진청농대협농과협공동학술토론회개최(연정국).pdf [261.75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