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쇄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밴드 구글플러스

카드뉴스
농촌진흥청 일 잘하는 정부 더 편안한 국민에게 2024 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농산업 현장 현장 애로 해결 ① 영농부산물 : 농촌의 미세먼지 산불 발생의 주원인인 관행적인 '영농부산물 소각금지'를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안전처리 지원사업]으로 개편 시행 - 기존 영농부산물 소각금지를 위한 캠페인홍보에서 [마을별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수거 및 파쇄지원단]으로 운영 확대(취약계층의 처리 불편 해소, 산불 예방과 병해충 발생 저감 등을 위해 민·관 협업방식으로 추진 - 민관 합동 파쇄지원단 발대식과 함께 본격 추진('24.2) : 행정안전부*산림청*NH농협*농업인단체 공동 농촌진흥청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농산업 현장 현장 애로 해결 ② 재해안전 : 농업인 안전 재해 예방교육과 안전 실천 역량 강화등을 통해 자율적 안전문화 조성에 역점 -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대상 확대(5인 이상 사업장, '24.1)에 따른 농업분야 안전재해 예방정책을 강화 - '안전 리더'양성, 이론·실습 등 '농업인 직접 참여형' 농작업 재해예방 교육 및 안전재해보험료 할인 제도 도입하(교육 이수자에 대한 안전재해보험료 할인 혜택(농식품부) 보험료 할인 농업인 안전보험 5%상승, 농기계 종합보험 3% 상승, 사업규모 139개 시·군(개소당 6백만원) 농촌진흥청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농업R&D 공공성 강화 ① 병해충 현장대응 : 발생 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 중심'의 국가 식품 병해충 예찰·방제 체계를 전면 개선 및 민관 협력 강화 - 사전예방 중심으로 예찰·방제 체계를 전면 개선 : 외래·검역 병해충의 일반문제 병해충으로 전환기준 정비, 방제 기본지침 등 제도를 정비 - 병해충 예찰조사 및 정밀검사를 위한 전문기관 지정을 통해 유기적인 민·관협력 대응체계 구축 대응체계 : 예찰조사(대학, 연구소) > 정밀검사·진단(도원) > 긴급방제(농진청·지자체), 영상정보(다중 위성영상과 AI를 활용한 벼 재배지 탐지기술 개발, 디지털(영상 및 센싱기반, 생육과 수량의 자동계측을 위한 '벼 디지털작활관제시스템' 구축('23) 6개소 → ('24) 20(+14) 농촌진흥청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농업R&D 공공성 강화 ② 연구개발 : 「농업 연구개발(R&D) 혁신 기조에 따라 연구개발 효율화, 농업의 디지털전환, 기후변화 가속화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에 기초한 연구개발에 집중」  - 5대 중점 분야 : (농업 현장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화 연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공공분야 연구, 산업화의 밑거름이 되는 기초연구, 미래성장 동력이 되는 첨단 연구, 농촌지역 지속을 위한 농업 재해 예방 연구  - 연구개발사업 공모(92과제 236억원) : 접수기간 : 2'1.12(금)~2.14(수), 자격요건 :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국립연구소, 지방자치단체, 산업체 등 국공립 또는 민간기관 연구자, 지원방법 : 자세한 지원 절차와 서식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http://iris.go.kr),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에서 확인 농촌진흥청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스마트농업 및 빅데이터 서비스 확산 ① 노지 스마트 :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노지농업 생산시스템 본격화,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 조성」 신규 추진과제 - 생산환경(토양,기후, 병해충 등)과 작물 생육 정보의 실시간 수집, 분석, 농작업 자동차 기술 등 '정밀농업의 노지 적용'을 본격 추진('24년) - 3년간 주요 노지 작물 주산지에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를 조성하고 인공지능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현장 적용(지자체와 함께 9개 시범지구 조성, 농진청 개발 기술 투입)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24~26, 79억원) : 노동력 절감(스마트기계화 양파(함양), 디지털자동화 벼(당진), 로봇농작업 사과(거창)), 재해대응(병해충예찰방제 복숭아(옥천), 조기경보대응 포도(상주), 수분스트레스관리 콩(연천)), 환경개선 ( 간척지모델 밀,콩(김제), 연작지관리 대파(신안), 고령지관리 배추, 무(평창)) 농촌진흥청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스마트농업 및 빅데이터 서비스 확산 ② 빅데이터 활용 : 농업과학기술정보서비스법('24.6.21.)시행으로 「농업데이터 수집·활용 및 농업기술 전달체계의 디지털화」 본격화 - 농업과학기술정보의 수집·관리·제공 및 공동 활용 「농업과학기술정보플랫폼(ASTIS)」의 온라인 서비스 실시('24.6): 서비스 신청·결과, 시군센터 시설·장비·교육 현황 등 실시간 제공(제공서비스 : 분석(농산물안전, 가축분뇨, 조사료 등), 분양(미생물, 꽃가루, 조직배양묘 등) - 스마트팜 농가 데이터의 체계적 수집·활용 공간인「농업R&D 데이터 통합플랫폼」을 지방농촌진흥기관으로 확대(플랫폼의 도원센터 확산 및 센터별로 설치된 농업인 교육장에서 활용 확대*도원센터 개방 : ('23) 1개소 →('24) 18(도원, 센터) →('25) 30, '25년까지 청 보유 토양, 기상 등 핵심 데이터(16종)읨 민간 개방 추진 농촌진흥청
2024농촌진흥청 새해 정책돋보기 K-농업기술 글로벌 협력 및 확산 ODA :K-라이스벨트 사업(농식품부 주관)과 연계하여「아프리카 적응 다수확 벼 우량종자 생산사업」본격 추진  - k-라이스벨트 사업 중 다수성 벼 종자생산, 벼 재배기술 전수 및 현지 전문인력 양성을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을 통해 추진(목표:2,000여톤(2023년), 1만톤 생산·보급(7개국)(2027년)- 7개국 확대('24) - '24년에는 이양기, 콤바인 등 농기계 투입 및 표준 종자생산기술 보급을 통해 목표 달성에 역량 집중 *표준 재배기술 메뉴얼 제공('24.2)→국가별 환경에 맞게 보완('24.12) 농촌진흥청
빈배경
본 저작물은 '출처표시+상버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