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 7종, 527개소 - 밀·콩 농가 생육, 환경, 토양 데이터 등
시설 3종, 1,294개소 - 스마트팜 농가 생육, 환경 등
축산 2종, 6개소 - 스마트축산 농가 로봇착유기 등
연구 2종, 55개소 - 시험연구 포장, AI학습용 등
현장 데이터 수집 - 생육, 환경, 환경제어, 유관기관 자료 등
수집용 서버 - Iot 포털(클라우드)
빅데이터 저장·분석·처리 - 빅데이터 관리시스템(ABMS)
수요자 맞춤 서비스(농가, 기업, 공공) - 실시간 안내서비스 http://smartfarm.rda.go.kr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모델적용 농가 수량증가 : 완숙 토마토(연동온실, 전북 완주) - 30톤/10a → 34톤 13.7% ↑상승
농식품부 스마트농업 예산 - 2,477억원(2020)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 - 500억(2020~2022)
영상 활용 디지털 영농관리 AI 기술개발 : 재해평가 및 생육진단모델(도복, 잡초) 등
스마트생력재배기술 : 드론직파, 직진자율주행이앙기, 영상 자동물꼬 시스템 등
영농의사결정 시범서비스 : 들녘별 벼 환경정보(기상재해 등) 제공, 흙토람 시비처방
자동 물관리 시스템(원격 영상 자동물꼬로 수위관측 및 논물제어)과 스마트 기계화 본논 물관리 비용 최대 36.4 천원/10a 절감(2021경제성효과보고서)
관행 대비 수량성(정조중 수량) 자율주행이앙, 영상물꼬(900kg/10a, +/-) 드론직파(820kg/10a, -9%)
2000 - 1,383 2019 - 1,007
2000 - 190.9 2019 - 1,079.3
2021 - 31.2%
2030 - 61.1v
80% ↓하락 이동 및 관리 시간, 비용 절감 가능(자동물관리 적용 시 시간 80% 감축 가능 추정)
↓하락 상시담수 대비 온실가스 63.0% 저감
↓하락 농업용수 28.8% 절감 가능 추산
2015 - 2.4 2017 - 3.0 2019 - 3.2
2015 - 1.9 2017 - 2.6 2019 - 2.8
사과·배 과원 농가 대상 방제효과, 비산 등 실효성 검증국립농업과학원 내 전문가 협업(작물보호과, 잔류화학평가과 참여)
전국 사과 과수원 대상 11개소, 사업비 616백만원기술지원과 협조
연간 744억원 ↓하락 → 연간 1,980억원↓하락
↓하락 추정 연간 639억원
기술이전 - 전용 노즐 실용신안 : 실시계약액 3.2백만원(2021)
특허출원 - 과수목 무인 방제용 설치 구조물 및 그 설치구조물 이용 방제법
30~60% ↓하락
649,580원/10a → 100,000원/10a
젖소 마리당 노동시간(시간/년) : 71.1(착유 30, 사료급여 17.6,방역치료 16.4 등)
수집된 생체 정보 등 빅데이터 활용이 어려운 실정 총 153대(Lely 94, Delaval 54, Incentec 5)
매니플레이터 - 국산 산업용 로봇팔의 솔루션 개발·적용 → 작동 안정성 확보
유두인식장치 - 기술개선(3D+3D(엉덩이좌표)) → 실시간 유두인식 정확도 향상
일체형착유컵 - 유두세척·착유·침지 등 일괄 착유컵 개발 → 착유시간 적정화
농장 통합관리 프로그램 - 로봇착유기 통합관리, 원격진단 및 농가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로봇착유기 구성 전체 장치 통합관리, 향후 연관장치 연동 및 농촌진흥청 빅데이터 플렛폼 연계
우유분석기(뉴질랜드), 맥동기(이탈리아), 진공펌프(독일) 등
유럽기준 국내 20%보급 : 목표시장 1,200대의 30%점유시 360대 보급, 매출 531억원 추정
농식품부 ICT 확산사업 장비 인증 완료(2021.4)
노지 디지털농업 현장실증을 통한 농작업·정책 의사결정 종합화 추진
벼(비료·병해·작황), 콩·밀(작물구분·작황), 고랭지배추·양파·마늘(면적·작황)
고랭지배추 - 재배시기, 생육이상, 면적 등 정밀 작황정보(9종) 생산·제공
벼·밀·콩 - 생육 및 양분 진단, 배추·양파 - 결주·보식 추천
드론영상 합성을 위한 정보 추출 및 자동제작 프로그램 개발
드론영상 기반의 작물분류, 면적추정 및 생육이상 판별 알고리즘 적용
드론 영상 및 주제도 제작·제공 : 배추 정식시기 분포도 등 149건(2021. 9. 17 기준)
웹을 이용한 농장 규모 미기상 예측 기술 확보
작물모형 :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생육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기상(기온, 습도, 강우, 일사, 풍속), 생육(생물계절, 엽수, 생체중)
웹사이트 주소 : https://wds.agdcm.kr/base/
1980년대 - 1.6회/연 1990년대 - 1.8 2010년대 - 2.0
2008 - 3.3% 2016 - 6.9 2020 - 9.1
IPCC 신규 온실가스 경로 시나리오 기반의 우리나라 미래 기후 예측ㆍ활용 체계 기온, 강수량에 대한 기상청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인증’ 취득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농경지 토양·양분 유실 저감 기술
기존:기상청 2개 시나리오 → 확대:농촌진흥청 18개 시나리오
논 물꼬관리로 연간 최대4억6천만 톤(782억 원) 물절약
간접온실가스 배출 약 2만 톤 CO2-eq(7억 원) 감축
토양유실 150만 톤 + 양분유실 9,000톤(540억 원) 보전
직접온실가스 배출 약 5만 톤 CO2-eq(18억 원) 감축
2018 - 31.0일 2019 - 12.9 2020 - 7.7 2021 - 11.8
가축더위지수 4단계별 생산성 수준 및 고온스트레스 연관 대사 지표 발굴
한우(심각) | 젖소(중증) | 돼지(심각) | 가금(심각) | ||||
---|---|---|---|---|---|---|---|
육성 | 비육 | 착유 | 육성 | 비육 | 육계 | 산란계 | |
증체량 | 45% ↓하락 | 75% ↓하락 | 유량 10% ↓하락 | 35% ↓하락 | 30% ↓하락 | 46% ↓하락 | 산란율 11% ↓하락 |
섭취량 | 30% ↓하락 | 26% ↓하락 | 11% ↓하락 | 30% ↓하락 | 25% ↓하락 | 30% ↓하락 | 21% ↓하락 |
생리반응 | 심박수 26% ↑상승 | 심박수 22% ↑상승 | 체온 약 1℃ ↑상승 | 호흡수 3배 ↑상승 | |||
혈액 | Cortisol 등 변화 | HSP 유전자 발현 등 변화 혈중 | 혈중 TNF-α 등 변화 | 혈중 전해질 등 변화 |
체내 항상성 유지와 연관한 고온스트레스 차등발현 유전자 발굴(육계)
온·습도 환산 더위지수 수식 활용 THI-생산성 지표 연관 회귀식 모델 젖소(유량 등), 한우(사료섭취량 등), 돼지(도체중 등), 육계(증체량 등), 산란계(난중 등)
‘가축사육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한 실시간 폭염피해 경보 및 사양 기술 보급 이용·보급 현황(2018 ∼ 2022. 1.) - 가입회원 : 6,178명 SMS 발송 건수 : 216,244건
경제적 - 적정 기술을 통한 가축폐사 30% 감소 시 723억원 절감(추정)
사회적 - 피해량 예측·산정을 통한 맞춤형 정책수립 및 지원책 마련
2017 - 4,846 2018 - 5,101 2019 - 5,184 2020 - 5,194
가공된 펠릿 직경 5∼25mm로 착화시간 단축 → 연소효과 증진
우분 고체연료 열량가 분석 등 균일한 품질관리를 위한 기술 지원 우분저장 기간별 고체연료 품질조사(국내 자원화 시설 대상) → 농식품부 R&D 지원
정책지원 - 우분 고체연료 생산 및 이용 촉진을 위한 MOU체결(2021.12.16.) 농식품부 : 유통기반 확충, 국립축산과학원 : 고체연료 R&D 추진, 농협 : 수집 및 유통, 품질관리, 현대제철 : 고체연료 사용
국내 우분 생산량 20% 고체연료화 시 ↓하락 농경지 양분 감축(톤/연간) 질소 : 23,006, 인 : 4,823
2011 - 32.3 2017 - 31.1 2020 - 30.3
2007 - 1,463 2017 - 2,830 2020 - 3,271
사료 단백질 수준을 낮추어도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유의적인 차이 없음
사료 단백질 수준 | 체중(kg) | 근내지방도 | |
---|---|---|---|
저단백(12.5%) | 478 | 5.7 | 사료비 5.7% 감소 전국 평균(참고) : 출하월령 30.3개월, 근내지방도 5.9, 도체중 447 kg |
관행(15%) | 467 | 5.6 |
15% 0.109 kg/두 → 12.5% 0.067 ↓하락 질소 38% 감소 효과
완주 - 458kg(고단백) vs 477(저단백)
강진 - 498kg(고단백) vs 492(저단백)
적용 두수 : 389,065두(거세우 2018년 출하두수 기준) 3개월 ↓하락
총 CO2배출량 182 천톤 - 장내발효 : 123천톤 CO2/두/년(4.0% ↓하락), 가축분뇨 : 59천톤 CO2/두/년(3.1% ↓하락)
한우 뇨(尿) 중 질소 배출량 감소로 냄새 저감 및 미세먼지 발생 감소 기여
고온, 가뭄, 다습으로 배추 생산량 6~22% 감소(2015~2017, 2020)
Glucosinolate의 생합성 증가 → 기공 닫힘 유도 → 수분 손실 억제 기작 구명
글루탐산 10ppm 엽면 살포 → 비료 약해 없음 15% 증수 효과 ↑상승
피해경감제 살포기술 → 경제적 파급효과 126억원
신규 재배면적(ha) : 2008 - 5,263 2014 - 2,844 2020 - 3,474
2008 - 5,514 2014 - 7,884 2020 - 7,772
뿌리썩음병 발병지수(발병률) 감소 : 무처리 3.51 → 방제기술 0.91
수량 증가 : 관행 656kg/10a → 방제기술 833kg/10a
뿌리썩음병 발병지수(발병률) 감소 : 무처리 3.51 → 방제기술 0.91
10년 → 2년 연작장해 경감 토양소독 매뉴얼 책자 발간 : 2021. 7.
태양열소독 : 540천원, 훈증소독 : 1,420천원
↓하락 세계적인 화분매개자의 부족 → 연 1600억~1900억 달러 경제적 손실 추정
2011 - 48.4% 2020 - 67.2%
화분매개 활동량 : 기존대비 2.3배 ↑상승
작물 수정률 : 기존대비 1.2배 ↑상승
기존: 1752kg/10a 신기술 : 2102 (20% ↑상승)
스마트양봉 화분매개전용벌통 보급사업 : 2021년 34개소 6.8억 예산
디지털 화분매개 산업화를 위한 특허(3건) 및 기술이전(1174만원)
기술편익 : 290억원 디지털벌통 생산유발 : 12억원 부가가치 증분 : 5.2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