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쇄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밴드 구글플러스

보도자료
보도자료 내용보기

보도자료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출처, 내용, 첨부파일 등 상세구분

낙농가 생산비 좌우하는 주요 지표 밝혀
국립축산과학원 김현주 2024-05-24

- 검정성적 상‧하위 농가의 생산비 관련 지표 비교 분석 결과 발표

- 생산비 관련 23개 지표 비교 분석

- 경제수명 늘리고, 공태 기간 최소화로 생산비 줄일 수 있어

 2018년 리터당 775원이던 우유 생산비가 2022년 959원으로 약 24% 상승하면서 낙농가의 생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낙농가가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특히 번식관리와 위생‧환경관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낙농가가 부담하는 생산비 절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한 ‘검정성적 상·하위 농가의 관리 실태 비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유우군 능력검정*에 참여하는 2,791농가(2022년 기준) 가운데 상·하위 각각 30농가를 대상으로 농장 관리 수준, 우유 생산, 유사비,** 번식, 질병 도태 등 생산비 관련 23개 지표를 비교 분석했다. * 젖소 암소의 산유량, 유지율, 유단백율 및 기타 유성분 등의 생산능력과 번식능력을 조사해 유전능력 평가를 하고 농가의 젖소 개량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 ** 유대(우유값) 수입 중 사료비가 차지하는 비율 

 우유 생산과 유사비 성적 분석 결과, 상위 농가는 하위 농가보다 마리당 사료비가 9% 높았다. 하지만 우유 생산량이 약 29% 높고, 체세포수가 약 34% 낮아 결과적으로 상위 농가 유사비가 17%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사료 급여와 체세포수 관리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식 성적 분석 결과, 상위 농가의 분만 횟수(산차)는 2.6산으로 하위 농가 2.3산보다 13% 높았다. 분만 횟수가 많다는 것은 젖소가 우유를 생산하는 경제수명이 그만큼 길다는 의미다.

 또한, 상위 농가는 젖소의 초산 월령이 26.9개월로 하위 농가보다 2.2개월이 짧았고, 분만간격은 433일로 38일 짧았다. 즉, 상위 농가는 체계적인 육성우 관리, 분만 전 관리, 번식관리 등으로 공태 기간(임신하지 않은 기간)을 최소화해 사료비 부담을 줄이고 가축 감가상각비를 절감했다. 

 아울러 질병에 의한 도태 성적 분석 결과, 동물약품 사용 금액은 상위 농가가 하위 농가보다 56% 높았다. 연평균 도태율은 상위 농가가 18%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나 상위 농가가 젖소 경제수명 연장과 질병 관리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분석됐다. 상위 농가는 농장 관리 수준에서도 4개 지표 모두 하위 농가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번식관리는 63%, 위생‧환경관리는 41%로 하위 농가와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 김상범 과장은 “상위 농가와 하위 농가의 차이가 확연했던 번식관리와 위생‧환경관리에 주안점을 두고 생산비 증가 요인을 개선한다면 생산비 절감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젖소 생산비 절감을 위한 사양관리 기술 개발 등 농가 소득 개선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24-2_낙농가생산비좌우하는주요지표밝혀(축산원).hwp
24-2_낙농가생산비좌우하는주요지표밝혀(축산원).hwpx
24-2_낙농가생산비좌우하는주요지표밝혀(축산원).pdf 클릭시 파일 내용을 바로 볼수 있는 새창이 뜹니다.


담당자 : 해당 게시물 작성자 및 전화번호 참조